Publications

김정은 시대 북한 가계소득 변화와 함의 = Changes in North Korean Household Income in the Kim Jung-eun Era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조성은
dc.date.accessioned2022-08-25T00:14:02Z
dc.date.available2022-08-25T00:14:02Z
dc.date.issued2022-08-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0686
dc.identifier.urihttps://doi.org/10.23062/2022.08.2
dc.description.abstract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은 종합시장 발달, 중국무역 확대, 제조업 성장 등을 배경으로 일반 주민들의 비공식 소득 창출 기회가 크게 늘어났다. 이에 일반 가구의 가계소득 대부분을 비공식 분야에서 얻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재 시장, 서비스 시장, 사금융 시장, 주택 시장 등이 확대되었고, 이 과정에서 노동시장이 형성되어 비공식 소득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었다. 시장의 발달은 단지 ‘소비’를 증가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개인의 ‘생산’과 ‘소득’을 동시에 증가시켰다. 다양한 형태의 돈벌이와 직업을 창출했고, 노동시장이 유연해지면서 다양한 소득 계층이 등장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북한 가계는 절대 빈곤 상황에서 벗어나 나름의 경제활동을 기반으로 소득과 자산을 늘려가고 있지만 이 변화는 고르게 나타나기보다는 사회적으로 불균등하게 실현되고 있어 북한 내 계층 간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북한 주민의 눈높이 상향에 맞는 교류·협력 사업 대상과 내용이 필요하며, 계층화에 따라 발생하는 격차를 염두에 둔 영양 지원 등 미시적 지원정책이 요구된다. 향후 남북 교류·협력의 핵심은 단순한 인도주의적 지원을 넘어서 북한의 낙후된 지역의 종합적 개발, 북한 인적 자본의 향상과 같이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측면에서 기획되고 추진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abstractSince Kim Jong-un took power, North Korea has greatly increased the opportunities for informal income generation, expansion of trade with China, and growth of manufacturing industries. As a result, it is known that most of the household income comes from the informal sector. The consumer goods market, service market, private finance market, and housing market expanded, and in the process, a labor market was formed and opportunities to obtain informal income expanded. The development of the market did not just increase ‘consumption’, but also increased ‘production’ and ‘income’ of individuals at the same time. It created various forms of earning money and jobs, and as the labor market became more flexible, various income classes appeared. Most North Korean households are getting out of absolute poverty and are increasing their income and assets based on their own economic activities. Therefore, the target and contents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that meet the North Korean people’s rising expectations are required, and micro-support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gaps caused by stratification are required. The core of future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should be planned and promoted from a long-term and macroscopic perspective, such as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North Korea’s underdeveloped regions and improvement of North Korea's human capital, beyond simple humanitarian aid.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김정은 시대 북한 가계소득 변화와 함의
dc.title.alternativeChanges in North Korean Household Income in the Kim Jung-eun Era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 Sungeun
dc.identifier.doi10.23062/2022.08.2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22
dc.citation.volume310
dc.citation.number8
dc.citation.date2022-08-01
dc.citation.startPage7
dc.citation.endPage2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22년 8월 통권 제310호, pp.7-2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2.8 No.310, pp.7-24
dc.date.dateaccepted2022-08-25T00:14:02Z
dc.date.datesubmitted2022-08-25T00:14:02Z
dc.description.subject북한 주민의 생활 변화와 함의: 식량과 영양을 중심으로
dc.description.subjectChanges in People’s Living Conditions in North Korea and Their Implications: Focusing on the Food and Nutritional Aspects
dc.subject.kihasa국제사회보장
dc.subject.kihasa건강증진
dc.description.section이달의 초점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국제사회보장
보건의료 > 건강증진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