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기업의 일ㆍ가정 양립 제도 시행 영향 요인 분석 =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a Work-Family Balance System in Companies

Title
기업의 일ㆍ가정 양립 제도 시행 영향 요인 분석 =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a Work-Family Balance System in Companies
Author(s)

방진아 ; 허순임

Alternative Author(s)
Bhang, Jin-ah ; Hur, Soonim
Keyword
일ㆍ가정 양립 ; 근로시간 유연화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인사관리
Publication Year
2022-06-30
Publisher
한국보건사회연구원
Citation
보건사회연구 제42권 제2호, pp.179-198
Abstract
근로시간 유연화는 일ㆍ가정 양립을 위해 근로자가 직장생활을 유지하면서 자녀 양육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 수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업의 근로시간 유연화 도입과 활용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며,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정책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업 특성, 인사관리 특성, 조직문화 특성을 주요 변수로 살펴보았다. 분석자료는 2018 여성관리자패널조사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총 346개 기업을 대상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 자율 제도인 근로시간 유연화 시행에는 공공부문 여부, 노조 유무, 고학력 여성 비중, 투명한 인사관리 여부 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반면 법적 의무제도인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의 경우 기업 규모, 남녀차별 관행에 의한 승진 차이 여부, 최고 경영자의 인식 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특히, 두 제도의 시행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합리적 인사관리가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된 본 연구의 결과는 일ㆍ가정 양립 차원의 인사관리 개선이 수반되어야 정책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ISSN
1226-072X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소득보장 > 노동연계복지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share

qrcode
share
Cited 2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