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자본과 자아존중감이 청년 미취업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and Self-Esteem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Young Unemployed
제목
사회적 자본과 자아존중감이 청년 미취업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and Self-Esteem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Young Unemployed
저자
이나경
저자(타언어)
Lee, Nakyung
키워드
사회적 자본
; 자아존중감
; 삶의 질
; 청년실업
; 행복
발행연도
2022-06-3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42권 제2호, pp.220-242
초록
장기화된 한국의 청년실업률 상승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의 삶의 질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탐색에 있어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 제고의 중요성과 완충장치 역할을 해줄 사회적 자본의 역할에 대해 신뢰, 일반화된 호혜성, 사회적 네트워크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한국복지패널 13차 원자료를 활용하여, 조사 당시 만 19~38세의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동일 연령대의 취업자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개인이 보유한 사회적 자본과 자아존중감의 차이와, 사회적 자본이 청년 미취업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독립분석 t-test, Baron & Kenny의 매개효과분석, Sobel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년 취업자와 청년 미취업자 간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 중 사회적 네트워크, 그리고 자아존중감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사회적 자본의 모든 구성요소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해당 결과는 청년 미취업자가 사회와의 연결성이 희미해지며 구조적으로 겪게되는 고립 및 소외감, 정체성 상실과 혼란을 총체적으로 개선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대안들에 대한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