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먹거리 체계 관점에서 본 먹거리 위기와 유형 = The Definition and Types of Food Crisis as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od System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성아
dc.contributor.author서다람
dc.contributor.author김상효
dc.contributor.author김기랑
dc.date.accessioned2022-07-12T06:02:58Z
dc.date.available2022-07-12T06:02:58Z
dc.date.issued2022-06-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046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상황에 적합한 먹거리 위기를 정의하고, 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으며, 먹거리 위기를 심화시킬 수 있는 재난상황과 발생 가능한 먹거리 위기를 제안함으로써, 재난상황에서도 신속하고 적절한 먹거리 보장체계가 작동할 수 있도록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고찰을 통해 먹거리 체계의 단계별(공급, 분배, 소비)로 발생 가능한 먹거리 위기의 사례를 탐색하여 국내 상황에 적용 가능한 먹거리 위기 사례들을 수집ㆍ종합하였고, 관련 분야 전문가의 검토와 자문을 거쳤다. 연구 결과, 먹거리 위기를 식품 불안정 상태, 식품 미보장 상황과 동일한 개념으로 정의하였으며, 먹거리 체계와 식품보장 요소를 고려하여, 먹거리 위기의 유형을 식품 공급 위기, 식품 분배 위기, 식품 소비 위기, 식품 안전 위기의 4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자연재해, 기후변화 등의 자연재난과 사고(붕괴, 폭발, 화재 등), 감염병 확산, 식품사고 등의 사회재난에 따라 새롭게 발생 가능한 먹거리 위기상황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먹거리 위기 ‘제로(0)’를 향해 점진적으로 나아가고 있던 먹거리 보장체계가 재난과 같은 갑작스러운 위기상황에 흔들리지 않고 신속히 작동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먹거리 위기의 유형과 사례에 대한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aimed at defining and classifying food crises in a way suitable for the situation in Korea. This study also examined potential disaster situations that may well lead to food crisis and suggested ways to keep the food security system working well even in a possible disaster situ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we surveyed types of food crises that can occur at each stage of the food system (supply, distribution, consumption), and then we examined the types of food crises that can be relevant to the domestic situ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defined food crisis in terms of food insecurity. Food crisis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including food supply crisis, food distribution crisis, food consumption crisis, and food safety crisis.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potential food crises that may occur due to a future natural or social disaster. Food crises are prominently revealed in disasters or corresponding national crises. In order for the food security system, which has been gradually working towards the ‘zero food crisis’, to respond timely to a sudden crisi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epare for the food crises as presented in this study.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1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먹거리 체계 관점에서 본 먹거리 위기와 유형
dc.title.alternativeThe Definition and Types of Food Crisis as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od System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먹거리 위기
dc.subject.keyword식품안정
dc.subject.keyword식품보장
dc.subject.keyword먹거리 체계
dc.subject.keyword재난
dc.subject.keywordFood Crisis
dc.subject.keywordFood Security
dc.subject.keywordFood System
dc.subject.keywordDisaster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eong-Ah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eo, Da-ram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ang-Hyo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Kirang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2
dc.citation.number2
dc.citation.date2022-06-30
dc.citation.startPage316
dc.citation.endPage32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2권 제2호, pp.316-32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2 No.2, pp.316-326
dc.date.dateaccepted2022-07-12T06:02:58Z
dc.date.datesubmitted2022-07-12T06:02:58Z
dc.subject.kihasa식품/의약품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식품/의약품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