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자녀 돌봄 실태와 정책 함의 = Childcare and Its Policy Implication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은정
dc.date.accessioned2022-06-27T01:52:16Z
dc.date.available2022-06-27T01:52:16Z
dc.date.issued2022-06-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0384
dc.identifier.urihttps://doi.org/10.23062/2022.06.5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에서는 ‘2021년도 가족과 출산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영유아와 초등학생의 돌봄 실태를 분석하였다. 영유아기의 경우, 0세를 대상으로 하는 시설 서비스 공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공립어린이집뿐만 아니라 국공립유치원에 대한 공급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경우에도 학교돌봄이나 마을돌봄 서비스 이용을 희망하지만, 실제로는 사설학원이나 개별돌봄서비스와 같은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교육 등 사설 학원 이용을 희망하는 비율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공적 돌봄 서비스에서는 학습적 욕구와 다양한 활동에 대한 욕구를 충분히 반영하여 질 좋은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육아와 가사노동에 따른 신체적 고단함으로 인한 어려움이 큰 것으로 조사되어, 적절한 돌봄 서비스를 공급하는 것과 함께 가정 내 양육을 지원하는 정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article analyzes the state of care for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using data from the 2021 Survey of Family and Fertility. The supply of facility services for 0-year-olds fell short of existing demand.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it necessary to expand the supply of not only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but also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In the case of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rate of using other services such as private academies is high even though they wished to use public care services. On the other hand, the percentage of those who wish to use private facilities, such as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was quite high. Therefore, public care services need to provide high-quality programs that fully reflect the needs for learning and various activities. Finally as the difficulties in childrearing and physical hardship due to housework were found to be great, it is necessary to expand domestic childcare support along with the provision of appropriate institutional care services.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자녀 돌봄 실태와 정책 함의
dc.title.alternativeChildcare and Its Policy Implication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Eunjung
dc.identifier.doi10.23062/2022.06.5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22
dc.citation.volume308
dc.citation.number6
dc.citation.date2022-06-01
dc.citation.startPage48
dc.citation.endPage6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22년 6월 통권 제308호, pp.48-6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2.6 No.308, pp.48-63
dc.date.dateaccepted2022-06-27T01:52:16Z
dc.date.datesubmitted2022-06-27T01:52:16Z
dc.description.subject가족과 인구 행동 변화의 정책적 함의: <2021도 가족과 출산 조사>를 중심으로
dc.subject.kihasa저출산대응
dc.description.section이달의 초점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