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우리나라 국민의 흡연 현황과 담배규제 정책이 주는 시사점 = The Prevalence of Smoking and Its Implications for Tobacco Control Polices in South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수영
dc.contributor.author김길용
dc.date.accessioned2022-05-30T02:20:21Z
dc.date.available2022-05-30T02:20:21Z
dc.date.issued2022-05-02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0270
dc.identifier.urihttps://doi.org/10.23062/2022.05.2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는 2005년 세계보건기구(WHO)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비준과 2015년 담뱃세 인상, 금연 구역 확대, 담뱃갑에 건강 경고 도입 등 담배규제 정책의 지속적인 강화를 통해 약 20년 전에 비해 성인 남성 흡연율이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나라의 성인 남성 흡연율은 경제 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도 높은 수준이며, 최근 40대 남성, 20대·30대 여성의 흡연율이 증가 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전자담배 등 신종 담배 시장 확대에 따른 흡연 행태 변화, 코로나19로 인한 금연지원서비스 이용 제한 등 환경 변화를 고려한 적절한 정책적 대응과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향후 정부 는 담배의 법적 정의를 개정하여 규제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금연구역 확대, 담뱃갑 경고 그림 확대, 무광고 표준 담뱃갑 제도 도입, 담배 성분 규제 및 공개, 담배 진열·광고·판촉 규제 등 기존의 비가격 정책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중장기적으로는 ’15년 이후 유지되고 있는 담배에 부과되는 건강증진부담금 등 가격 정책에 대한 추진 방향을 면밀히 검토하여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 제시한 흡연율 감소와 건강 형평성 강화라는 국가 목표를 달성하고, 담배의 폐해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여야 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revalence of smoking among men in South Korea has declined by 50% compared to its level 20 years ago, which is an accomplishment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stricter tobacco control policies such as ratification of the WHO FCTC, an increase of the tobacco tax and price, expansion of the non-smoking area, and introduction of health warnings on the cigarette products. Nonetheless, the smoking prevalence in men is still among the highest in the world and among the OECD countries. Also, the smoking prevalence in men in their 40s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has been on the increase. Policymakers also face new challenges, as they respond to rapid changes in smoking behaviors of the nation’s population, due to the expansion of new and emerging tobacco products (e.g. e-cigarettes and heated tobacco products), and the limited reach of the national smoking-cessation servic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achieve the Health Plan 2030 goals, which are strengthening health equity and protecting people’s health from the harms of tobacco, the government ought to take actions fully employing effective policy interventions including both price and non-price policies.
dc.formattext/plain
dc.format.extent18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우리나라 국민의 흡연 현황과 담배규제 정책이 주는 시사점
dc.title.alternativeThe Prevalence of Smoking and Its Implications for Tobacco Control Polices in South Korea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u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Gilyong
dc.identifier.doi10.23062/2022.05.2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22
dc.citation.volume307
dc.citation.number5
dc.citation.date2022-05-01
dc.citation.startPage6
dc.citation.endPage2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22년 5월 통권 제307호, pp.6-2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2.5 No.307, pp.6-22
dc.date.dateaccepted2022-05-30T02:20:21Z
dc.date.datesubmitted2022-05-30T02:20:21Z
dc.description.subject우리나라 금연사업과 담배규제 정책
dc.description.subjectSmoking Cessation Programs and Tobacco Regulation Policies in Korea
dc.subject.kihasa건강친화적 환경
dc.description.section이달의 초점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건강친화적 환경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