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빅데이터 기반 보건복지정책과 기술 간 융합체계 구축(Ⅲ) = Incorporating Technologies into Big Data-based Health and Welfare Policies(Ⅲ)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혜정
dc.contributor.author정소희
dc.contributor.author최슬기
dc.contributor.author유재언
dc.contributor.author이준우
dc.contributor.author김은하
dc.contributor.author정청흔
dc.contributor.author오미애
dc.coverage.temporal2021-01-01 - 2021-12-31
dc.date.accessioned2022-05-09T05:30:33Z
dc.date.available2022-05-09T05:30:33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isbn978-89-6827-816-7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0142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2019년에 시작된 3년 중기 과제로, 올해가 3차 연도 마지막 연구이다. 1차 연도 연구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복지수요를 도출하고 신기술의 현황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2차 연도 연구는 보건복지정책 인식 변화와 신기술 동향을 파악하여 주요 이슈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보건복지정책과 기술 간 융합의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융합체계 구축 방향을 제시하였다. 3차 연도(2021년) 연구에서는 본 과제의 궁극적인 연구 목적인 ‘빅데이터 기반 보건복지정책과 기술 간 융합체계’ 프레임을 최종적으로 구축하였다. 이는 보건복지정책과 기술 간의 간극을 좁히면서 동시에 잘 융합되도록 하는 데 요구되는 필수 요소를 모두 담고 있으며, 일반적이고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축하였다. 또한 융합체계를 실제 사례에 적용해봄으로써, 사례별로 구체적인 정책과제를 도출하여 융합체계의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사례는 3가지로 노인복지정책, 장애인복지정책, 일반인 대상 건강증진정책이다. 각 사례에서 융합체계 구축이 필요한 배경과 필요성, 현황을 살펴본 다음에, 융합체계의 영역별 고려사항을 점검하고 검토하여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융합체계에서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제도나 환경적인 요소에 대해 제안하고, 향후 해결해야 할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Digital New Deal, one of the Korean New Deal policies, is in full swing since the digital capabilities emerge as a key element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COVID-19 has spread non-face-to-face services, and all industries are accelerating the use and convergence of the new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5G mobile communi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will actively speed up the convergence between policies and new technologies i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 This will contribute to solving the problem of increasing welfare demand under the limited health and welfare budgets and fin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health and welfare policies and the technologies, and to establish a convergence system for smooth integration. This study is a three-year mid-term project that started in 2019, and this year was the last study in the third year. The 1st study was to present the welfare demand and the current state of new technologies, based on big data. The 2nd was to identify the changes in the health and welfare policies and the trends in the new technologies, and to derive major issues. Case studies suggested the direction on the convergence between the health and welfare policies and the technologies. The 3rd study established the convergence system between the big data-based health and welfare policies and the technologies. The convergence system consists of 5 major domains and 14 small domains. 1. Creating a research and industrial environment 2. Creating a legal and ethical foundation 3. Creating cooperation/collaboration systems and networks 4. Supporting and managing the providers and the users 5. Evaluation of the welfare effect of the convergence system The finally constructed convergence system was applied to policy target cases in order to derive policy tasks for each case. Case studies were on the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the welfare policy for the disabled, and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policy. Through these studies, a convergence system based on big data was established so that technologies could increas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health and welfare policies.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as the ultimate goa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33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5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39 제2장 보건복지정책과 기술 간 융합체계 구축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조사 43 제1절 조사 개요 45 제2절 일반 국민 조사 결과 49 제3절 전문가 조사 결과 67 제4절 일반 국민과 전문가 조사 분석 결과 비교 85 제5절 소결 111 제3장 보건복지정책과 기술 간 융합체계 구축 방안 115 제1절 2차 연도 융합체계 구축안 요약 118 제2절 융합체계 구축을 위한 선행연구 검토 122 제3절 전문가 대상 융합체계 구축 관련 조사 129 제4절 실무자 대상 융합체계 구축 관련 집단심층토론 161 제5절 보건복지정책과 기술 간 융합체계 212 제4장 사례 1: 노인복지정책과 기술 간 융합체계 221 제1절 개요 및 필요성 223 제2절 노인복지정책, 기술 관련 현황 231 제3절 노인복지정책과 기술 간 융합체계에서의 과제 256 제4절 소결 287 제5장 사례 2: 장애인복지정책과 기술 간 융합체계 293 제1절 개요 및 필요성 295 제2절 장애인복지정책, 기술 관련 현황 300 제3절 장애인복지정책과 기술 간 융합체계에서의 과제 336 제4절 소결 369 제6장 사례 3: 건강증진정책과 기술 간 융합체계 373 제1절 개요 및 필요성 375 제2절 건강증진정책, 기술 관련 현황 380 제3절 건강증진정책과 기술 간 융합체계에서의 과제 399 제4절 소결 415 제7장 결론 421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423 제2절 보건복지정책과 기술 간 융합체계 구축의 함의와 과제 431 참고문헌 443
dc.formattext/plain
dc.format.extent47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빅데이터 기반 보건복지정책과 기술 간 융합체계 구축(Ⅲ)
dc.title.alternativeIncorporating Technologies into Big Data-based Health and Welfare Policies(Ⅲ)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빅데이터
dc.subject.keyword보건복지정책
dc.subject.keyword신기술
dc.subject.keyword융합체계
dc.subject.keyword구축
dc.subject.keywordTechnology
dc.subject.keywordBigdata
dc.subject.keywordHealth and Welfare Policy
dc.subject.keywordIncorpor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Hyej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g, So-Hu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Seul K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 Jaee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unwoo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Eunha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eong, Cheonghe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Miae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1.19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1-19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1-19
dc.citation.date2021
dc.citation.date2021
dc.date.dateaccepted2022-05-09T05:30:33Z
dc.date.datesubmitted2022-05-09T05:30:33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100032_1_1
dc.subject.research정보통계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1-011-00]빅데이터 기반 보건복지정책과 기술 간 융합체계 구축
dc.subject.kihasa보건복지 정보화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보건복지 정보화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