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자본의 개념과 현황 =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Social Capital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영수
dc.date.accessioned2022-04-28T08:15:22Z
dc.date.available2022-04-28T08:15:22Z
dc.date.issued2022-04-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0088
dc.identifier.urihttps://doi.org/10.23062/2022.04.2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에서는 사회자본의 개념 및 측정에 대해 간략히 논의한 후, 한국의 사회자본 현황을 탐색적 수준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사회자본의 개념 및 측정에 대한 선행연구 및 실증적 검증을 통해 도출된 4개의 사 회자본 하위 지표(제도 신뢰, 일반 신뢰, 네트워크, 호혜 규범)를 중심으로 인구학적·사회경제적 특성으로 구분되는 집단들 간 사회자본 보유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에 더해 사회자본의 하위 지표를 동시에 고 려한 유형화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자본 보유 유형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인구학적·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사회자본 보유 수준과 유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저학력, 저소득, 1인 가구 등 사회 경제적 취약계층은 사회자본 보유 수준 역시 낮았으며, 사회자본의 하위 지표별로 집단별 사회자본 분포가 상이하였다. 이상의 논의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자본 강화를 통해 사회배제에 대응하기 위한 몇 가지 함의를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article briefly discussed the concepts and measures of social capital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profiles of social capital in Korea. Four forms of social capital ? generalized trust, institutional trust, network, and norms of reciprocity - were deriv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empirical verification on the concepts and measures of social capital. Three different profiles of social capital were further identified based on empirical classification considering multiple forms of social capital simultaneously. A special attention has been paid to how the distributions of social capital across groups differ according to forms of social capital. Findings showed that social capital was unequally distributed across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groups, and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groups tended to have low levels of social capital. Findings also confirmed that there were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social capital across forms of social capital. Several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 to address social exclusion through strengthening social capital.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사회자본의 개념과 현황
dc.title.alternative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Social Capital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Yungsoo
dc.identifier.doi10.23062/2022.04.2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22
dc.citation.volume306
dc.citation.number4
dc.citation.date2022-04-01
dc.citation.startPage6
dc.citation.endPage2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22년 4월 통권 제306호, pp.6-2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2.4 No.306, pp.6-20
dc.date.dateaccepted2022-04-28T08:15:22Z
dc.date.datesubmitted2022-04-28T08:15:22Z
dc.description.subject사회배제 집단의 사회자본
dc.description.subjectThe Social Capital of Socially-Excluded Groups
dc.subject.kihasa복지국가
dc.subject.kihasa사회보장재정
dc.description.section이달의 초점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복지국가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재정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