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소득배제 집단의 사회자본과 정책적 함의 = Income-excluded Groups, Their Social Capital and Policy Implication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태완
dc.date.accessioned2022-04-28T08:10:46Z
dc.date.available2022-04-28T08:10:46Z
dc.date.issued2022-04-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0087
dc.identifier.urihttps://doi.org/10.23062/2022.04.3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에서는 소득배제 경험이 있는 국민의 소득배제 현황과 사회자본에 대해 분석하였다. 소득배제 기준은 경상소득, 주관적 계층 인식, 박탈이며 서로 배타적인 성격이 아닌 소득배제 중첩 경험을 토대로 하고 있다. 소득배제 1~3집단의 소득배제 비율은 약 44%, 비배제 집단은 55.84%로 분석되었다. 소득배제 집단은 공 공기관의 도움을 받고 싶어 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소득배제 3집단은 51.84%, 소득배제 2집단은 41.55%로 거의 절반에 이른다. 사회적으로 소수자에 해당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소득배제 3집단이 38.85%로 비배제 집단에 비해 세 배 이상 높았다. 차별 경험 있음, 무시당하는 집단에 속함, 차별 발언을 들 은 경험 등에서도 소득배제를 많이 경험할수록 차별을 경험한 비율이 높았다. 빈곤과 소득배제 집단을 최소 화하고, 배제 집단이 느끼는 부정 인식을 극복하고 행복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공공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 다. 소득배제 집단의 차별 경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국민 인권 교육과 인식 개선 사업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article analyzed the status of income exclusion and social capital of the people who have experienced income exclusion. Income exclusion is examined in terms of current income,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nd deprivation. The income exclusion experience rate was estimated to be 44% for the income-excluded groups 1 to 3 and 55.84% for the non-excluded group. The income-excluded group has a high rate of wanting to receive help from public institutions, 51% for Income-excluded Group 3 and 41% for Income-excluded Group 2. The percentage of those who felt they were a social minority was 38.85% for Income-excluded Group 3, which was more than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the non-excluded group. In terms of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belonging to a neglected group, and experience of receiving discriminatory remarks, the higher the experience of income exclusion, the higher the rate of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The role of the public should be strengthened to minimize poverty and income-excluded groups, to overcome negative perceptions felt by excluded groups, and to promote happiness. In order to reduce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by income-excluded groups, it is necessary to expand public human rights education and awareness-raising projects.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소득배제 집단의 사회자본과 정책적 함의
dc.title.alternativeIncome-excluded Groups, Their Social Capital and Policy Implication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Taewan
dc.identifier.doi10.23062/2022.04.3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22
dc.citation.volume306
dc.citation.number4
dc.citation.date2022-04-01
dc.citation.startPage21
dc.citation.endPage3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22년 4월 통권 제306호, pp.21-3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2.4 No.306, pp.21-31
dc.date.dateaccepted2022-04-28T08:10:46Z
dc.date.datesubmitted2022-04-28T08:10:46Z
dc.description.subject사회배제 집단의 사회자본
dc.description.subjectThe Social Capital of Socially-Excluded Groups
dc.subject.kihasa복지국가
dc.subject.kihasa사회통합
dc.subject.kihasa소득보장 일반
dc.description.section이달의 초점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복지국가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소득보장 > 소득보장 일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