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건강배제 집단의 사회자본과 정책적 함의 = The Social Capital of Groups Socially Excluded from Health Care and Its Policy Implication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기태
dc.date.accessioned2022-04-28T07:59:30Z
dc.date.available2022-04-28T07:59:30Z
dc.date.issued2022-04-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0086
dc.identifier.urihttps://doi.org/10.23062/2022.04.4
dc.description.abstract건강은 사회적 배제의 주요한 지표 가운데 하나다. 건강배제는 다른 범주의 사회적 배제의 결과로 나타날 뿐 아니라, 다른 사회적 배제를 낳는 원인이 된다. 이 글에서는 주관적 건강, 우울감, 의료서비스 접근권을 기준으로 건강 영역에서 배제가 중첩된 정도에 따라 설문 응답자들을 네 집단(비배제, 배제 1~3)으로 나누 었다. 그리고 집단별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자본 실태, 문제 상황에서의 대처 내용 및 복지 인식 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배제 집단에서 대체로 저학력, 저소득 집단의 비율이 높았다. 둘째, 건강배제 집단의 사회자본은 비배제 집단보다 낮았다. 셋째, 건강배제 집단은 비배제 집단보다 건강 문제에 직면했을 때 도움받을 수 있는 사적·공적 네트워크가 약했다. 넷째, 건강배제 집단은 소득 불평등의 심각성 에 대한 동의 수준이 높았고, 사회문제를 시정하기 위한 사회 참여 의사도 비배제 집단과 유사한 수준으로 높았다. 건강배제 집단의 배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적인 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이들 집단의 사회 참 여를 활성화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abstractHealth is one of the main indicators used to measure social exclusion. Health exclusion not only results from other categories of social exclusion, but also causes other social exclusions. This article divides the survey respondents into four groups (a non-excluded group and excluded groups 1-3)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clusion from multiple health domains concerning subjective health, depression, and access to medical service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each group’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capital, ways of coping with the problematic situations, and perception of welfar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s of low-educated, low-income groups were higher in the health-excluded group. Second, the level of social capital was lower in the health-excluded group than in the non-excluded groups. Third, the health-excluded group had weaker private and public networks to receive help when faced with health problems than the non-excluded groups. Fourth, the health-excluded group had high levels of agreement on the seriousness of income inequality and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ety to correct social problems. In the end, we emphasize the need for an approach that strengthens the public support system for the excluded and activates social participation of these groups in order to overcome social exclusion.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건강배제 집단의 사회자본과 정책적 함의
dc.title.alternativeThe Social Capital of Groups Socially Excluded from Health Care and Its Policy Implication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Ki-tae
dc.identifier.doi10.23062/2022.04.4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22
dc.citation.volume306
dc.citation.number4
dc.citation.date2022-04-01
dc.citation.startPage32
dc.citation.endPage4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22년 4월 통권 제306호, pp.32-4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2.4 No.306, pp.32-45
dc.date.dateaccepted2022-04-28T07:59:30Z
dc.date.datesubmitted2022-04-28T07:59:30Z
dc.description.subject사회배제 집단의 사회자본
dc.description.subjectThe Social Capital of Socially-Excluded Groups
dc.subject.kihasa복지국가
dc.subject.kihasa보건의료 안전망
dc.description.section이달의 초점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복지국가
보건의료 > 보건의료 안전망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