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정치·사회 참여에서 배제된 사람들은 누구이며, 그들은 어떻게 대응하는가? = Who are Socio-politically Excluded? And How Do They React?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관후
dc.date.accessioned2022-04-28T07:43:05Z
dc.date.available2022-04-28T07:43:05Z
dc.date.issued2022-04-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0084
dc.identifier.urihttps://doi.org/10.23062/2022.04.6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에서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정치·사회 참여에서 상대적으로 배제되어 있고, 배제의 요인은 무엇이 며, 이 구조가 악순환될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그 해결책은 어떤 방향에서 찾아야 할 것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 사회 구성원 약 3명 중 1명은 평균적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배제되어 있다 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학력이 낮을수록, 가구 구성원 3인 이하의 소가족일수록 배제 정도가 높았다. 또한 경제적 불평등이 정치·사회 참여 배제에 반영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정치·사회 참여에서의 배제는 개인적·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때의 대응 역량과 방식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참여 배제는 일상에서 당한 부당한 일을 바로잡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개인의 사회자본과도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일상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공공기관 및 민간기관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 다는 인식이나 기대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도움 받기를 희망하는 사람·기관이 없다’는 응답에서도 차이가 나타나, 미래에 악순환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경향은 공적인 비리나 부정 문제를 해결하 려는 상황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참여 배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대안은 배제 집단의 정치적 대표성 확대, 곧 대표성에서의 다양성 확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정당 체제, 선거제도의 변화가 필요하지만 그 전에 왜 이러한 변 화가 필요한지, 어떤 대표성을 정치·사회적으로 강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article, we have looked into the political and social exclusion in Korean society; how serious it is, and in what direction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Looking at the results of classifying the excluded and non-excluded groups from political and social participation, one in three members of our society is politically and socially excluded compared to the average group. Women are relatively more socio-politically excluded than men. Educational background also appears to be a factor that strongly influences socio-political exclus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he degree of exclusion was higher in small families with three or less members. It was also confirmed that economic inequality is reflected in socio-political exclusion. Exclusion from socio-political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bility and method to respond to personal and social problems. Socio-political exclusion is found to have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individual's social capital that can be mobilized to correct injustice in daily life. In addition, the functions of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that can help when problems occur in daily life are more vulnerable to exclusion groups.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the responses to ‘there is no person or organization to seek help,’ and a vicious cycle is highly likely to appear in the future. This was similar to the case of correcting public injustice. Ways to solve this problem of exclusion from participation include expanding the political representation of the excluded groups, that is, securing diversity in representation. To this end, changes in the party system and the electoral system are necessary. However, before that, social consensus on why these changes are necessary and what kind of representation should be strengthened politically and socially must be preceded.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정치·사회 참여에서 배제된 사람들은 누구이며, 그들은 어떻게 대응하는가?
dc.title.alternativeWho are Socio-politically Excluded? And How Do They React?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Kwanhu
dc.identifier.doi10.23062/2022.04.6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22
dc.citation.volume306
dc.citation.number4
dc.citation.date2022-04-01
dc.citation.startPage61
dc.citation.endPage7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22년 4월 통권 제306호, pp.61-7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2.4 No.306, pp.61-76
dc.date.dateaccepted2022-04-28T07:43:05Z
dc.date.datesubmitted2022-04-28T07:43:05Z
dc.description.subject사회배제 집단의 사회자본
dc.description.subjectThe Social Capital of Socially-Excluded Groups
dc.subject.kihasa복지국가
dc.subject.kihasa사회통합
dc.description.section이달의 초점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복지국가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