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노인의 사회적 불안 = A study of social unrest in South Korea: focusing on elderly peopl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곽윤경
dc.contributor.author전지현
dc.contributor.author황남희
dc.contributor.author김세진
dc.contributor.author이현주
dc.coverage.temporal2021-01-01 - 2021-12-31
dc.date.accessioned2022-03-31T10:56:17Z
dc.date.available2022-03-31T10:56:17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isbn978-89-6827-825-9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988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3차 연도 연구로, 노인(65~74세)에 초점으로 두었다. 이에 따라, 노인의 사회적 불안을 수준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그리고 대처기제를 포괄하여 살펴보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 65~74세 약 1,000명을 대상으로 「한국인의 사회적 문제 경험과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조사표에는 사회적 불안을 측정하는 다양한 문항과 개인불안을 측정하는 문항, 대처기제, 개인 및 사회적 사건 경험, 응답자 스스로에 대한 인식, 사회적 관계 등을 포함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첫째, 노인의 사회적 불안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 실시, 둘째, 사회적 불안이 높은 은퇴자 혹은 은퇴예정자의 노후준비 지원, 셋째, 사회관계망 강화를 통한 사회적 불안 감소, 넷째, 정보화기기 활용의 역기능적 측면을 예방 및 해소, 다섯째, 보편적인 관점에서 노인 관련 정신건강서비스 제공, 마지막으로, 집단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 설계 및 패러다임 재구조화를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social unrest amongst elderly people in South Korea and to draw the policy implications. The study uses the same index on social unrest from the data set used to examine social unrest in young people in 2020. The questionnaire for collecting these data had age-specific adjustments. A survey was carried out open to those aged 65 to 74 across the nation; 1,000 individuals responded. The factor analysis method was utilized to identify the elements of the social unrest, and following elements were discerned: a) adaptation/ safety, b) injustice/competition, c) distrust/hopelessness, d) inequality. In addition, individual levels of social unrest, social unrest in terms of aging, perception of social unrest were used, as other elements of social unrest. Chapter 3 covers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levels of and the differences in the social unres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apter 4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social unrest and income, along with the more general indicator of wealth. When it comes to the ‘adaptation/safety’ element of social unrest, the levels were higher in the first income quintile than those in the fourth quintile. Chapter 5 examines the way participants respond to a sense of fear and insecurity and identifies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network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unrest. The final chapter summarizes the findings of the earlier chapters and draws the policy implic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9 제2절 선행연구 검토 19 제3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9 제2장 조사 개요 35 제1절 조사 개요 및 내용 37 제2절 사회적 불안의 측정과 구성 46 제3절 응답자 특성 53 제3장 노인의 사회적 불안 수준 57 제1절 분석의 목적과 방법 59 제2절 노인의 사회적 불안 64 제3절 소결 85 제4장 노인의 소득과 사회적 불안 87 제1절 분석내용과 분석방법 89 제2절 소득분위별 사회적 불안의 수준과 내용 비교 99 제3절 사회적 불안에 대한 소득의 영향 분석 104 제4절 소결 109 제5장 노인의 사회참여와 사회불안 113 제1절 논의 배경 115 제2절 분석의 목적과 방법 118 제3절 사회참여 특성과 불안 122 제4절 대처방식별 불안 비교 140 제5절 사회참여가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분석 147 제6절 소결 161 제6장 결론 165 제1절 종합적 분석 167 제2절 연구 결과 요약 174 제3절 정책적 함의 및 제언 177 참고문헌 187 부록: 「한국인의 사회적 문제 경험과 인식 조사」 설문지 197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노인의 사회적 불안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social unrest in South Korea: focusing on elderly people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노인
dc.subject.keyword65~74세
dc.subject.keyword사회적 불안
dc.subject.keyword사회정책
dc.subject.keyword노인정책
dc.subject.keyword정신건강
dc.subject.keywordsocial unrest
dc.subject.keywordelderly people
dc.subject.keywordsocial policy
dc.subject.keywordSouth Korea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wak, YoonKy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e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wang, Namhu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 Jihy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Hyonjoo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1.28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1-28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1-28
dc.citation.date2021
dc.date.dateaccepted2022-03-31T10:56:17Z
dc.date.datesubmitted2022-03-31T10:56:17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100024_1_1
dc.subject.research소득보장정책연구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1-003-00]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노인의 사회적 불안
dc.subject.kihasa노인복지
dc.subject.kihasa고령화대응
dc.identifier.dataportalhttps://www.kihasa.re.kr/dataportal/kor/contents/ContentsList.html?menuId=2010117&rootId=2010001&dtb_year=2021&dtb_subject=%ED%95%9C%EA%B5%AD%EC%9D%B8%EC%9D%98+%EC%82%AC%ED%9A%8C%EC%A0%81+%EB%AC%B8%EC%A0%9C+%EA%B2%BD%ED%97%98%EA%B3%BC+%EC%9D%B8%EC%8B%9D+%EC%A1%B0%EC%82%AC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조사자료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