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정신건강연구센터 운영: 한국인의 트라우마와 회복력 증진 전략 = Understanding of Trauma and Building Up of Resilience in Korea

제목
사회정신건강연구센터 운영: 한국인의 트라우마와 회복력 증진 전략 = Understanding of Trauma and Building Up of Resilience in Korea
저자

채수미(Chae, Sumi) ; 김혜윤 ; 최소영 ; 이상정(Lee, Sang Jung) ; 현진희 ; 김태종 ; 배정은 ; 전진아(Jun, Jina)

저자(타언어)
Chae, Sumi ; Kim, Hyeyun ; Choi, Soyoung ; Lee, Sang Jung ; Hyun, Jinhee ; Kim, Tae-Jong ; Bae, Jungeun ; Jun, Jina
키워드
트라우마 ; 회복력 ; 정신건강
발행연도
202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사람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트라우마라는 용어를 사용하곤 한다. 사소한 문제를 두고 트라우마라 일컬으면, 절실하게 도움이 필요한 트라우마 역시 개인이 견뎌내야 하는 사소한 문제가 되어버릴지 모른다. 실제 얼마나 많은 사람이 어떤 트라우마를 안고 사는지 살펴보고, 치료와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트라우마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한국 사람들은 인간 및 동물 감염병의 유행, 경제위기, 사고, 성폭력, 자연재난 등의 집단적 트라우마를 경험하면서, 트라우마와 그것의 회복, 보상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었다. 그리고 인생을 살아가면서 우리 개인은 각자 다양한 트라우마를 경험하고 있으므로, 우리의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안녕이 위협받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트라우마를 이해하고, 회복력을 증진하기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다.

Trauma can seriously affect mental and physical health, social relationships, and quality of life. In order to promote mental health policy in our socie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s in terms of mental vulner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aumas experienced by Koreans and to prepare a way to enhance our resilience.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conducted a web-based survey of young adults to understand the major traumas experienced by Koreans and their negative effects. Result of the survey indicated 89.9% of surveyees had experienced traumas directly or indirectly.
Second, we analyzed newspaper articles reported over the past 10 years to understand the trauma issues, which our society has recently paid attention to. In Korea, socially significant traumatic events occurred continuously. And gradually, people’s awareness has been strengthened of traumas, recovery and compensation thereof.
Third, reviewing the policies of Korea, we investigated the policies of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Both countries had initially paid attention to the traumas of the groups suffering from wars and environmental disasters, and gradually expanded the scope of their policies. Taking account of this point, the situation in Korea can be regarded as the beginning of the trauma policy.
Our findings would suggest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trauma characteristics of Koreans should be preceded; that social awareness of trauma should be raised; and that Trauma Informed Care should be introduced into social policies.
목차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제2장 선행연구 고찰 17
제1절 트라우마의 정의와 측정 19
제2절 트라우마 경험과 그에 따른 영향 36

제3장 국내외 트라우마 지원 정책 51
제1절 우리나라 53
제2절 미국 80
제3절 호주 111

제4장 트라우마 경험 조사 129
제1절 조사내용 및 방법 131
제2절 트라우마 경험 실태 140
제3절 트라우마 경험자의 정신건강과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75

제5장 트라우마 이슈 분석 181
제1절 분석내용 및 방법 183
제2절 분석결과 190

제6장 트라우마 대응을 위한 정책제언 215
제1절 트라우마 경험 실태와 정책과제 217
제2절 한국 사회의 트라우마 이슈와 정책과제 227
제3절 국외 트라우마 대응 동향과 정책과제 234
제4절 한국의 트라우마 대응을 위한 특별 과제 239

참고문헌 247
부록 281
[부록 1] 트라우마 경험 조사표 281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1-09
ISBN
978-89-6827-806-8
DOI
10.23060/kihasa.a.2021.09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건강증진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