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초등 학령기 아동 돌봄체계 대응방안 연구 =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care system for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in the post-corona era

제목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초등 학령기 아동 돌봄체계 대응방안 연구 =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care system for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in the post-corona era
저자

김은정(Kim, Eunjung) ; 오신휘 ; 이희현 ; 이혜숙

저자(타언어)
Kim, Eunjung ; Oh, Shinhwee ; Lee, Heehyun ; Lee, Hyesook
키워드
돌봄시설 감염병 대응 ; 초등 학령기 아동 돌봄 실태 ; 역단위 통합관리체계
발행연도
202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이 연구는 코로나19에 따른 정부의 긴급돌봄 대응 현황을 검토하고 초등 학령기 아동의 돌봄 실태를 분석하여 향후 돌봄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돌봄공백을 최소화하고 긴급한 돌봄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돌봄체계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같은 감염병 위기는 일상의 돌봄위기보다 더욱 긴급하고 다양한 돌봄의 어려움을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돌봄위기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단위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연한 서비스 수급관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밖에 긴급돌봄을 위한 상시적 인력관리체계 마련, 가정 내 긴급돌봄 지원 확대, 돌봄위기 시 현금지원 확대, 일·가정 양립 지원 확대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overnment’s emergency care response and the current state of care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for efficient response to the urgent care needs in the future crisis situations.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he all-day care system did not have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so that each department was independently carrying out the COVID-19 emergency care without mutual cooperation and sup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surveys on the status of care, satisfaction with emergency care during the COVID-19 period was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day-to-day care before that. Also, in case of the vulnerable households, it was found that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as very weak, the access to the work- family balance system was low, and the rate of experiencing a decrease in income was high.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three policy measures: The first is to establish a universal service supply system for promotion of children’s well-being and development, and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A beneficiary-pay model can be considered as a way of supply expansion.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in the care service facilities. The second is establishment of a regional integrated care management system for flexible response to the urgent care needs.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status of child care at the regional level to identify and support the children in crisis. In addition, it is needed to establish a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emergency care at the regional level. Lastly, in addition to the service supplies, it is proposed to diversify support methods such as cash payment to alleviate the burden of childcare costs, and to increase parental involvement in childcare through expansion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support policies.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12

제2장 기존 연구 및 해외사례 검토 15
제1절 초등 학령기 공적 돌봄 현황 17
제2절 코로나19와 아동돌봄 30
제3절 해외 돌봄 사례 33

제3장 코로나19 위기 시 돌봄대응 현황 55
제1절 코로나19에 따른 정부 대응 57
제2절 학교돌봄 67
제3절 마을돌봄 77
제4절 시사점 93

제4장 돌봄 실태 및 정책 욕구 97
제1절 돌봄서비스 이용 실태 99
제2절 온라인 학습 및 환경 변화 128
제3절 정책 욕구 144
제4절 시사점 149

제5장 위기대응 돌봄체계 구축 방안 153
제1절 기본 방향 155
제2절 세부 과제 158

참고문헌 175
부 록 185
[부록 1] 코로나 시기 초등학생 돌봄 실태 및 정책 요구도 조사표 185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1-21
ISBN
978-89-6827-818-1
DOI
10.23060/kihasa.a.2021.21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미래질병위험
사회서비스 > 사회서비스 일반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5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