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패널기구(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의 3차보고서(2001)에 의하면 관측적인 평가를 통해 볼 때 지구상의 기후변화는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20세기 동안 증가된 북반구의 평균기온은 지난 1,000년간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1961년에서 1990년의 평균기온과 비교하여 2100년 까지 1.4도에서 5.8도의 지구기온 상승이 예상된다. 또한 기후변화는 지역별 부문별로 그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평가는 광범위한 건강영향평가의 한 부분이며 지금까지의 영향을 토대로 인구집단의 건강취약성을 평가하고, 향후의 영향의 범위와 정도를 예상하는 과제이기도 하다. 기후요인에 노출되는 인구집단의 건강취약성은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생물의학적 접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접근이 필요한 분야이기도 하다. 한편 국민보건체계는 국민질병양상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꾸준히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의 영향이 인구집단에 영향을 준다는 근거를 기반으로 하여 국민보건체계의 평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알맞은 정책과 제도의 개선을 위한 연구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기본적인 보건의료 인프라 및 위기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에 대한 평가도 필요하다.
목차
1. 서론 2.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협약안 개발의 배경과 우리나라 정부의 대응현황 3.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 평가의 주요 과제들 4. 지구상의 지역별 기후변화와 관련된 건강영향 평가의 유형과 전망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