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주요국의 보건의료 정책 개혁 동향 = Health Policy Reform in Selected Countr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여나금
dc.contributor.author이재은
dc.date.accessioned2022-01-11T09:26:33Z
dc.date.available2022-01-11T09:26:33Z
dc.date.issued2022-01-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doi.org/10.23062/2022.01.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9022
dc.description.abstract각국이 가지고 있는 보건의료 환경의 유산은 상이한 부분이 많지만, 현재 처해 있는 위기의 지점은 맥을 같이하는 부분이 많다. 대부분의 선험국에서는 인구고령화에 따라 현재 세대와 미래 세대의 부양 부담이 증가하고, 저성장 고착화로 인해 의료비 지출이 경제성장률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증가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다양화·세분화되어 가는 의료 수요에 대응하지 못하는 의료이용 체계, 공공성과 혁신의 대립 속에서 제도권으로 포괄되지 못하는 혁신기술 등 현재 직면하고 있는 보건의료 정책의 문제의식은 대부분의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코로나19 위기를 겪으면서 주요 선험국이 추진하고 있는 최근의 보건의료 정책 개혁 동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선험국의 개혁 동향 사례가 우리나라의 새로운 보건의료 정책 방향을 설계하는 데 하나의 지향점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dc.description.abstractAlthough the legacies of health care environment vary somewhat across different countries, there also exist a series of common denominators directly related to the unprecedented crisis we are currently facing. The typical difficulties which most countries are now experiencing include thegrowing burden of support for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owing to aging population, the ever-increasing medical expenses that exceed the economic growth rate due to a fixed low growth rate, an outdated health care use system that cannot appropriately respond to the diversified and fragmented health care needs, and the malfunctioning innovative technologies which cannot accommodate institutional request because of confrontation between public and innovation stakeholder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review the recent trends in health care reform carried out by selected advanced countries in the face of the COVID-19 crisis and to present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Our analysis of the reform trends may serve as a guideline in designing alternative health care policies in Korea.
dc.formattext/plain
dc.format.extent1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주요국의 보건의료 정책 개혁 동향
dc.title.alternativeHealth Policy Reform in Selected Countrie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eo, Nageum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aeeun
dc.identifier.doi10.23062/2022.01.8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22
dc.citation.volume303
dc.citation.number1
dc.citation.date2022-01-01
dc.citation.startPage106
dc.citation.endPage11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22년 1월 통권 제303호, pp.106-11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2.1 No.303, pp.106-115
dc.date.dateaccepted2022-01-11T09:26:33Z
dc.date.datesubmitted2022-01-11T09:26:33Z
dc.description.section정책분석과 동향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