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시대 미국의 직업능력 개발: 포용적 노동시장을 위한 미국 일자리 계획과 향후 방향성 = U.S. Workforce Development in the COVID-19 Era: American Jobs Plan and Future Directions for a More Effective and Inclusive Labor Market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오세헌 |
dc.date.accessioned | 2021-12-30T05:44:05Z |
dc.date.available | 2021-12-30T05:44:05Z |
dc.date.issued | 2021-12-31 |
dc.identifier.issn | 2586-0844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8987 |
dc.identifier.uri | http://dx.doi.org/10.23063/2021.12.7 |
dc.description.abstract | 현재 미국은 지속적인 노동시장의 구조 변화로 기술 인력 부족 현상을 경험하고 있다. 2021년 초 바이든 정부는 대안으로 고수요 산업을 중심으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여성 및 소수 인종·민족 등 취업 취약 구직자 및 근로자들에게 직업훈련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기술 인력 부족 문제 해소한다는 ‘미국 일자리 계획’(American Jobs Plan)을 제안하였다. 미국 일자리 계획이 취약계층의 취업과 기술 인력 확충에 일시적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코로나19 시대에 보다 효과적이고 포용적인 노동시장 구축을 위해서는 취업 취약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공공 직업능력 개발 시스템을 장기적이고 근본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현재 미국의 공공 직업능력 개발 시스템 개선을 위한 제안과 그 실증적 기반을 바탕으로 논의한다.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10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코로나19 시대 미국의 직업능력 개발: 포용적 노동시장을 위한 미국 일자리 계획과 향후 방향성 |
dc.title.alternative | U.S. Workforce Development in the COVID-19 Era: American Jobs Plan and Future Directions for a More Effective and Inclusive Labor Market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description.eprintVersion | published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Oh, Sehun |
dc.identifier.doi | 10.23063/2021.12.7 |
dc.citation.title | 국제사회보장리뷰 |
dc.citation.title |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
dc.citation.volume | 2021 |
dc.citation.volume | 19 |
dc.citation.number | 겨울 |
dc.citation.date | 2021-12-31 |
dc.citation.startPage | 74 |
dc.citation.endPage | 83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국제사회보장리뷰 2021년 겨울 19호, pp.74-83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2021 No.겨울 19, pp.74-83 |
dc.date.dateaccepted | 2021-12-30T05:44:05Z |
dc.date.datesubmitted | 2021-12-30T05:44:05Z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