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위기에서 프랑스 상병수당 정책의 역할 = The Role of Sickness Benefit Policies during the COVID-19 related Crisis in France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마티아스 브룬 |
dc.date.accessioned | 2021-12-30T05:31:55Z |
dc.date.available | 2021-12-30T05:31:55Z |
dc.date.issued | 2021-12-31 |
dc.identifier.issn | 2586-0844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8982 |
dc.identifier.uri | http://dx.doi.org/10.23063/2021.12.2 |
dc.description.abstract | 프랑스 상병수당 정책은 프랑스 사회 정책의 일반적인 특성인 이원주의(dualism)를 반영한다. 한편으로는 인구의 특정 집단에 대한 사회적 보호 확대를 모색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출을 제한하도록 압박을 받는다. 후자인 지출 통제는 코로나19 위기 이후 두 가지 이유에서 여러 혜택이 확대되면서 완화되었다. 하나는 저금리, 그리고 ’어떠한 비용을 치르더라도’ 팬데믹으로 인한 손해를 복구하라는 정부 기조에 따라 긴축재정 패러다임에 약간의 변화가 생겼다는 점이고, 또 다른 이유는 2022년 봄으로 다가온 대선 및 총선이다. 따라서 코로나19 위기에서 현재 상병수당 확대 조치의 지속가능성 여부는 시간이 지나 봐야 알 수 있을 것이다.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 | application/octet-stream |
dc.format | application/octet-stream |
dc.format.extent | 9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코로나19 위기에서 프랑스 상병수당 정책의 역할 |
dc.title.alternative | The Role of Sickness Benefit Policies during the COVID-19 related Crisis in France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description.eprintVersion | published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Brunn, Matthias |
dc.identifier.doi | 10.23063/2021.12.2 |
dc.citation.title | 국제사회보장리뷰 |
dc.citation.title |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
dc.citation.volume | 2021 |
dc.citation.volume | 19 |
dc.citation.number | 겨울 |
dc.citation.date | 2021-12-31 |
dc.citation.startPage | 17 |
dc.citation.endPage | 25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국제사회보장리뷰 2021년 겨울 19호, pp.17-25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2021 No.겨울 19, pp.17-25 |
dc.date.dateaccepted | 2021-12-30T05:31:55Z |
dc.date.datesubmitted | 2021-12-30T05:31:55Z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