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보건복지 분야 국가민간 역할분담의 역사적 전개와 과제 - 지역복지와 아동복지 사례를 중심으로 = Historical Development and Tasks of State/Private Role Sharing in Health and Welfare : Focusing on Local Welfare and Child Welfare Cases

제목
보건복지 분야 국가민간 역할분담의 역사적 전개와 과제 - 지역복지와 아동복지 사례를 중심으로 = Historical Development and Tasks of State/Private Role Sharing in Health and Welfare : Focusing on Local Welfare and Child Welfare Cases
저자

조성은(Cho, Sungeun) ; 최원규 ; 김예슬 ; 김범수 ; 김성철 ; 박정란 ; 윤남식 ; 이방원 ; 이방현 ; 강영숙

저자(타언어)
Cho, Sungeun
키워드
사회복지역사 ; 지역복지 ; 아동복지
발행연도
202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한국 사회복지서비스는 서구 복지국가들에서의 일반적인 사회복지서비스 발전양상과는 다른 경로를 밟아왔다. 사회복지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여러 사회정책들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훨씬 전에, 민간차원에서 자발적으로 사회복지서비스가 제공되었다는 점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공공조직에 의한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이 대부분인 서구와 달리 한국에서는 민간조직에 의한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이 여전히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복지 제공주체의 다양화(사회복지법인 등 공익법인 뿐 아니라 기업, 개인 등도 가능)와 함께 국가와 민간의 적절한 역할분담이 요청되고 있다. 역사적 사례 연구를 통해 민간부문에 대한 국가 지원이 늘어나면서 활동의 공식성은 늘어난 반면, 독립성은 약화되고 일부 시설에서는 정치 상황에 따라 안정성이 훼손되는 경우도 확인된다. 따라서 향후 민간의 기부금조성과 자원봉사를 촉진하고, 종교단체나 비영리단체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한편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유기적 협력 체제를 강화하여 복지의 효과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13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5
제2절 선행연구와 한계 20
제3절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24

제2장 국가‧민간 역할분담의 이론적 검토 27
제1절 다양한 복지제공주체들의 태동과 발전 29
제2절 사회복지에서 국가와 민간의 역할분담 36
제3절 사회복지에서 국가와 민간의 관계양상 48
제4절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의 의의 52

제3장 진우원 55
제1절 들어가며 57
제2절 전사(前史)로서의 향린원 59
제3절 진우원의 발전과 정체 70
제4절 진우원 역사로 본 민간과 국가의 역할 87

제4장 거제 애광원 101
제1절 들어가며 103
제2절 애광영아원의 출현 배경과 초기 활동 105
제3절 아동복지 활동 및 지역사회복지 활동의 다각화 120
제4절 아동시설에서 장애인시설로의 변모 129
제5절 애광원의 역사를 통해 본 민간과 국가의 역할 138

제5장 은평천사원 143
제1절 들어가며 145
제2절 은평천사원의 설립과 초기 활동 146
제3절 은평천사원의 성장과 발전 167
제4절 은평천사원 시설 자립과 시설전환을 향한 노력 223
제5절 은평천사원의 역사를 통해 본 민간과 국가의 역할 246

제6장 광주 충현원 255
제1절 들어가며 257
제2절 미국 남장로교의 호남 선교와 고아돌봄사업의 시작 258
제3절 지역복지 중심의 탈시설화 277
제4절 지방자치제도의 부활과 광주충현원 283
제5절 충현원의 역사를 통해 본 민간과 국가의 역할 289

제7장 초록우산어린이재단 293
제1절 들어가며 295
제2절 재한기독교아동복지회의 시설아동 중심 아동복지 활동 301
제3절 한국어린이재단의 정부 위탁 아동복지 활동 313
제4절 아동복지활동 다각화와 아동옹호 기관으로서의 정체성 확립 343
제5절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의 역사를 통해 본 민간과 국가의 역할 363

제8장 태화기독교종합사회복지관과 인천기독교종합사회복지관 369
제1절 들어가며 371
제2절 태화여자관의 설립과 활동 372
제3절 태화사회관 시대(1933~1953) 385
제4절 태화기독교사회관 시대(1954~1980) 394
제5절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으로의 발전 411
제6절 지역복지기관의 역사를 통해 본 민간과 국가의 역할 426

제9장 결 론 431
제1절 주요 연구결과 433
제2절 정책적 함의 437

참고문헌 443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1-02
ISBN
978-89-6827-780-1
DOI
10.23060/kihasa.a.2021.02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지역사회보장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