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다빈도 한약재 유해물질 안전성 연구 = Safety assessment of hazardous substances for high frequency oriental(herbal) medicin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정선
dc.contributor.author이난희
dc.contributor.author최시내
dc.contributor.author홍지연
dc.contributor.author이희나
dc.contributor.author이한슬
dc.contributor.author최호영
dc.contributor.author원재희
dc.contributor.author강세미
dc.contributor.author백미은
dc.contributor.author박유미
dc.contributor.author김영아
dc.contributor.author박정호
dc.contributor.author윤혜민
dc.contributor.author성기운
dc.contributor.author구준모
dc.contributor.author곽경민
dc.contributor.author이경예
dc.contributor.author이은진
dc.coverage.temporal2017-01-01 - 2017-11-30
dc.date.accessioned2021-12-03T00:49:47Z
dc.date.available2021-12-03T00:49:47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8847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총괄연구개발과제 요약문 3 국문 요약문 5 Summary 9 Ⅱ.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13 제1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목적 및 필요성 15 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 15 2.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20 3 . 총괄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2 4. 총괄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국외과학기술정보 61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67 1. 연구 내용 67 2. 연구 방법 68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결과 및 고찰 73 1 . 한약재 시료 구입 및 적합성 검증 73 2 . 한약재 품목별 유해물질 오염도 조사 74 3. 한약재 중 유해물질 오염경로 75 4. 한약재 중 유해물질 오염실태를 반영한 위해평가 79 5. 한약재 중 유해물질 공정서 기준규격 고찰 및 관리대안 99 6. 관리대상물질 저감화 및 위해평가 가이드라인 개발(별첨1 참조) 104 제4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105 1. 총괄활용성과 105 2. 총괄활용계획 106 제5장 총괄주요연구 변경사항 106 Ⅲ. 제1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107 제1장 제1세부 연구개발과제 요약문 109 제2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111 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111 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112 제3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113 제4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결과 및 고찰 117 1 . 한약재 시료 수집117 2 . 한약재 분류별 및 품목별 주요 오염원인 및 오염단계 129 3. 유해물질의 오염경로 144 4. 유해물질에 대한 저감화 방안 148 5. 한약재 중 유해물질 오염실태를 반영한 위해평가 158 6. 한약재 유통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 182 제5장 1세부 참고문헌 183 Ⅳ. 제2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185 제1장 제2세부 연구개발과제 요약문 187 제2장 2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191 1. 2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191 2. 2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192 제3장 2세부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193 1. 관리대상물질(18종) 193 2. 오염도 조사대상 품목 및 관리대상물질의 공정서 기준 규격 현황 193 3. 관리대상물질(18종)의 분석 방법 195 4. 물추출물의 이행률 조사 209 제4장 2세부연구개발과제의 결과 및 고찰 211 1. 관리대상물질(18종) 211 2. 오염도 조사대상 품목 및 관리대상물질의 공정서 기준 규격 현황 211 3. 분석법 개선 밸리데이션 및 교차검증 220 4. 관리대상 물질별 오염도 조사 결과 230 5. 추출물에 대한 이행률 조사 결과 294 6. 결과 고찰 315 제5장 2세부 참고문헌 3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33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식품의약품안전처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다빈도 한약재 유해물질 안전성 연구
dc.title.alternativeSafety assessment of hazardous substances for high frequency oriental(herbal) medicine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type.other정책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정책보고서 2017-32
dc.date.dateaccepted2021-12-03T00:49:47Z
dc.date.datesubmitted2021-12-03T00:49:47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수탁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1700051_1_1
dc.subject.research보건의료
dc.type.project수탁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수탁17-001-00]다빈도한약재유해물질안전성연구(2차년도)
dc.subject.kihasa식품/의약품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식품/의약품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