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노인요양시설의 지역별 수요-공급 적정성 분석 = A Study on the Adequacy of Supply and Demand for Nursing Home Facilities by Region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세진
dc.contributor.author김혜수
dc.contributor.author이윤경
dc.coverage.temporal2021-02-01 - 2021-05-15
dc.date.accessioned2021-07-20T07:38:22Z
dc.date.available2021-07-20T07:38:22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isbn978-89-6827-784-9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8061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의 지역별 수요-공급 적정성 분석을 통해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 분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 이용에 있어 권리 차원에서의 기회의 균등성 보장을 위한 정책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요(① 65세 이상 노인, ② 85세 이상 노인, ③ 장기요양 1~3등급 인정자)와 공급(① 시설 수와 ② 정원 수) 시나리오별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의 지역별(시·군·구) 수요-공급 현황을 분석하고, 지역별(시·군·구) 수요 대비 공급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의 수요 대비 공급의 적정성 확보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As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increases,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nursing home facilities infrastructure. For the proper supply of resources, prior to the expansion of infrastructure, a review of whether the current supply of nursing home facilities is properly supplied by region should be prec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dequacy level of demand-supply of nursing home facilities by region and to prepare measures to ensure the adequacy of supply and demand of nursing home facilities to ensure the equality of opportunities. In this study, the demand was divided into those aged 65 or older, those aged 85 or older, and those who were recognized for the first to third grades of long-term care. The supply was divided into the number of facilities and the number of personnel. According to these standards, the adequacy and status of supply compared to demand have been ver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gional demand-supply status of nursing home faciliti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dequacy of demand-supply of nursing home facilities varies depending on how it define demand and supply. Regardless of the scenario, however, the demand for nursing home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urban areas. Next, supply is also concentrated in cities. Next, supply is also distributed around urban areas. While the number of facilities are highly distributed around the city center, the number of personnels are distributed around the outskirts of the city. It also exhibits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region and type of facilities.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adequacy of supply compared to regional demand of nursing home facilities, Korea’s nursing home facilities are oversupply overall. In detail, the central of the city and rural areas are short of supply, and the outer areas of the city center are oversuppl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policy measures to ensure the adequacy of supply and demand of nur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3 제2장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 수요와 공급 적정성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17 제1절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의 수요 대비 공급의 적정성에 대한 논의 19 제2절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의 수요와 공급의 개념 및 측정 방법 26 제3장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의 지역별 수요-공급 현황 분석 35 제1절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의 수요와 공급 관련 제도적 변화 38 제2절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의 지역별 수요 추이 44 제3절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의 지역별 공급 추이 61 제4절 소결 84 제4장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의 지역별 수요 대비 공급의 적정성 분석 95 제1절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의 지역별 충족률 98 제2절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의 지역별 수요 대비 공급 형평성 분석 103 제3절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 수요 대비 공급 분포의 공간상관성 132 제4절 소결 146 제5장 결론 153 제1절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의 지역별 수요 대비 공급의 적정성 155 제2절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의 지역별 수요 대비 공급의 적정성 확보를 위한 정책 제언 160 제3절 연구의 의의 및 한계 164 참고문헌 165 부록 171 [부록 1] 지역별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 수요-공급 현황 1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198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노인요양시설의 지역별 수요-공급 적정성 분석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Adequacy of Supply and Demand for Nursing Home Facilities by Region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수요-공급
dc.subject.keyword적정성
dc.subject.keyword노인요양시설
dc.subject.keywordsupply-demand
dc.subject.keywordadequacy
dc.subject.keywordnursing hom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e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yesoo Kim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Yunkyung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수시) 2021-02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Occasional) 2021-02
dc.citation.date2021
dc.date.dateaccepted2021-07-20T07:38:22Z
dc.date.datesubmitted2021-07-20T07:38:22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수시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A
dc.subject.nkisMiddleA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100056_3_1
dc.subject.research인구정책
dc.type.project수시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수시21-001-02]노인요양시설의 지역별 수요-공급 적정성 분석
dc.subject.kihasa노인복지
dc.subject.kihasa지역사회보장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지역사회보장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