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1 제1장 서론 4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4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46 제3절 종합계획의 개요 및 정책성과 평가틀 50 제2장 노숙인 등의 현황 57 제1절 노숙인 등의 규모 59 제2절 노숙인 현황 65 제3절 쪽방주민 현황 73 제4절 노숙인 등의 규모 변화 78 제3장 (예방) 노숙인 예방 및 초기 노숙인을 위한 지원 시스템 확립 93 제1절 노숙유입 예방을 위한 지원 95 제2절 효과적인 현장보호활동 체계 구축 108 제4장 (지원) 노숙인 특성별 지원체계 구축 119 제1절 취약시기 거리노숙인 보호대책 121 제2절 노숙인 시설체계의 전문화 129 제3절 노숙인 주거지원사업의 강화 146 제4절 노숙인 의료지원 접근성의 향상 162 제5절 노숙인 고용지원의 강화 174 제5장 (사회복귀) 재정착을 위한 관련 복지서비스 연계 187 제1절 지역사회 재정착을 위한 지원 189 제2절 관련 복지서비스와 연계 207 제3절 노숙인을 위한 교육훈련 222 제6장 (인프라) 질 높은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강화 239 제1절 거리노숙인 현황 조사 및 실태조사 실시 241 제2절 협의체 구성을 통한 정책모니터링 체계 구축 253 제3절 노숙인시설 종사자 배치기준 강화 268 제7장 결론 279 제1절 정책성과 평가 281 제2절 정책 제언 304 참고문헌 317 부록: 평가 지표 및 양식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