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의 상병수당 도입에 관한 연구 - 제도간 연계와 조정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ickness benefits in Korea

제목
한국의 상병수당 도입에 관한 연구 - 제도간 연계와 조정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ickness benefits in Korea
저자

김수진(Kim, Sujin) ; 김혜윤 ; 김기태김성아 ; 이주미 ; 남재욱 ; 문성현 ; 윤상용

저자(타언어)
Kim, Sujin
키워드
상병수당 ; 상병급여 ; 병가 ; 병가급여 ; 건강보장 ; 소득보장 ; 고용보장
발행연도
202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대유행으로 아플 때 쉴 수 있는 문화와 이를 위한 권리 보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상병수당 도입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상병수당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관련 제도들과 조정 및 연계가 필요한 지점을 검토함으로써 상병수당 제도의 설계에 있어 고려가 필요한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의 보편적인 사회보장제도가 사회보험방식에 근거하고 있고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에 대해 부조 형식의 조세 기반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과 현재 업무 외 상병으로 인한 소득상실의 위험이 보편적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사회보험 방식의 상병수당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적용대상, 급여의 자격요건, 급여기간, 급여수준 등 상병수당 제도의 구체적인 설계에 있어 기존 제도들과의 연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상병수당의 도입과정에서 사회보장제도의 포괄성을 확대하는 방향에서 기존 제도들 또한 일부 개선이 필요할 것이며 상병수당의 도입이 업무 외 상병으로 일을 하기 어려운 노동자들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려면 고용보장과의 연계 등 노동법적 접근 또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8
제2장 개념 및 관련 제도 21
제1절 개념적 고찰 23
제2절 국내 관련 제도 현황 32
제3절 소결 38
제3장 건강보험제도와의 연계 39
제1절 건강보험제도 개요 41
제2절 역할 및 연계 지점 45
제3절 소결 54
제4장 산재보험제도와의 연계 57
제1절 산재보험제도 개요 59
제2절 역할 및 연계 지점 81
제3절 소결 85
제5장 장애연금(국민연금)제도와의 연계 87
제1절 장애연금(국민연금)제도 개요 89
제2절 역할 및 연계 지점 98
제3절 소결 109
제6장 고용보험제도와의 연계 111
제1절 고용보험제도 개요 113
제2절 역할 및 연계 지점 118
제3절 소결 125
제7장 실업부조제도와의 연계 129
제1절 실업부조제도 개요 131
제2절 역할 및 연계 지점 144
제3절 소결 153
제8장 공공부조제도와의 연계 157
제1절 공공부조제도 개요 159
제2절 역할 및 연계 지점 175
제3절 소결 180
제9장 상병수당 도입 시 고려 사항 및 제언 183
제1절 상병수당 도입 시 고려 사항 185
제2절 제언 203
참고문헌 205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수시) 2020-09
ISBN
978-89-6827-714-6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보건의료 안전망
소득보장 > 노동연계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