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출산 의향의 실현 분석과 출산율 예측 연구 = Realization of fertility intention and fertility forecasting

제목
출산 의향의 실현 분석과 출산율 예측 연구 = Realization of fertility intention and fertility forecasting
저자

신윤정(Shin, Yoon-jeong) ; 이명진 ; 전광희 ; 문승현

저자(타언어)
Shin, Yoon-jeong
키워드
저출산 ; 이상 자녀 수 ; 기대 자녀 수 ; 출산율 예측
발행연도
202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정부의 저출산 대응 정책의 목표가 합계 출산율 제고에서 원하는 출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패러다임이 바뀜에 따라 출산 의향의 실현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출산 의향과 출산 계획이 출산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파악하고 이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국내 출산율 회복을 위한 정책적인 제언을 제공하였다. 어떠한 매커니즘을 통해 출산 의향과 출산 계획이 마련되고, 계획한 출산이 실제 출산으로 어느 정도 실현되고 있는지, 그리고 출산 의향과 출산 계획이 출산율을 예측하는 데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는가를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출산율 전개 방향을 모색하였다.

출산 계획과 임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출산에 대한 주관적인 규범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에 대한 태도가 미치는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고, 인식된 통제의 영향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한 출산의 실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여성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출산을 실현할 가능성은 작아지고 출산을 포기하는 경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을 하는 여성이 비경제활동 여성보다 출산을 실현할 가능성은 작지만 출산을 포기하기보다 연기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저학력과 중하층 혹은 중산층 집단이 계획한 출산을 실현할 가능성이 작았고 출산을 포기할 확률도 높았다. 출산력 조사를 통해서 계측된 실효적 기대 자녀 수는 통계청 인구동태 통계/장래인구추계의 코호트별 완결 출산율에 매우 근접한 것으로 나타나, 기대 자녀 수는 초저출산 시대에서 출산율을 추계하고 장래 인구 모습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목차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3절 출산 의향의 개념과 지표 12
제2장 출산 의향의 형성 27
제1절 선행 연구 30
제2절 분석 개요 55
제3절 TPB 모형 분석 81
제4절 TDIB 모형 분석 101
제5절 소결 112
제3장 출산 의향의 실현 117
제1절 선행 연구 120
제2절 분석 개요 127
제3절 분석 결과 141
제4절 소결 166
제4장 출산 의향의 예측 타당성 171
제1절 선행 연구 174
제2절 분석 개요 186
제3절 분석 결과 204
제4절 소결 247
제5장 결론 251
제1절 연구 결과 종합 253
제2절 정책 제언 259
참고문헌 267
부 록 277
1. 출산 의향의 실현 분석과 출산율 예측에 관한 온라인 설문조사지 277
2. 출산 의향의 실현: 확률 효과 로짓 모형 분석 결과 296
3. 출산 의향과 출산 의도의 예측 타당성 분석에 활용한 표 302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0-37
ISBN
978-89-6827-759-7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5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