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아동·청소년보호체계의 자립지원 격차 해소를 위한 자립지원정책 연구 = Study on Policies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 Comparison between Foster Care and Run-away/homeless Youth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상정
dc.contributor.author김지민
dc.contributor.author류정희
dc.contributor.author김지연
dc.contributor.author김무현
dc.coverage.temporal2020-01-01 - 2020-12-31
dc.date.accessioned2021-03-26T08:20:28Z
dc.date.available2021-03-26T08:20:28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bn978-89-6827-760-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36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아동·청소년 보호체계의 자립지원 정책과 서비스를 살펴보고, 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체계에서 보호받고 있는 자립준비대상 아동·청소년을 위한 자립지원 정책과 서비스, 그리고 아동·청소년의 자립준비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 보호체계의 아동·청소년의 자립준비도는 아동보호체계의 아동·청소년보다 낮았지만 관련 정책과 서비스는 상대적으로 부족했으며, 이용 경험 또한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립지원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법, 정책, 그리고 서비스 관련 방안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make suggestions to reduce the gaps between child and youth protection systems in terms of independent living policy and services. To do so, this study firstly examines differences in policies and services that are designed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between foster care and run-away/homeless youth in each system. Second, experiences on preparation for independent living,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needs for related services of transition-age are compared between foster care and run-away/homeless youth. This study finds out that all the transition-youth in two systems have the same levels of needs in terms of independent living assistances but run-away/homeless youth have less supports and assistances from the system. Suggestions related to law, polices and services are made to reduce the gap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9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내용 11 제3절 연구 방법 12 제2장 아동·청소년보호체계 자립지원 정책 및 서비스 19 제1절 자립지원 대상 현황 및 특성 21 제2절 자립지원 서비스 전달체계 41 제3절 자립지원 서비스 현황 49 제4절 소결 61 제3장 보호아동·청소년 자립지원 해외 사례연구 67 제1절 미국 69 제2절 영국 90 제3절 소결 112 제4장 아동·청소년보호체계 자립준비 및 서비스 욕구 비교 분석 119 제1절 청소년보호체계 자립지원 대상 청소년의 특성 121 제2절 아동·청소년보호체계 자립준비도 비교 결과 157 제3절 아동·청소년보호체계 자립서비스 욕구 비교 170 제4절 자립준비 및 자립서비스 욕구에 관한 FGI 결과 177 제5절 소결 202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207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및 결론 209 제2절 연구 함의 및 정책 제언 220 참고문헌 231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아동·청소년보호체계의 자립지원 격차 해소를 위한 자립지원정책 연구
dc.title.alternativeStudy on Policies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 Comparison between Foster Care and Run-away/homeless Youth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자립지원
dc.subject.keyword아동보호체계
dc.subject.keyword청소년보호체계
dc.subject.keywordindependent living policy
dc.subject.keywordchild protection system
dc.subject.keywordyouth protection system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ang Jung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0-38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0-38
dc.citation.date2020
dc.date.dateaccepted2021-03-26T08:20:28Z
dc.date.datesubmitted2021-03-26T08:20:28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6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000028_7_2
dc.subject.research인구정책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0-001-06]아동·청소년 보호체계의 자립지원 격차 해소를 위한 자립지원정책 연구
dc.subject.kihasa아동복지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