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사적 연구데이터 관리 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nterprise-wide Research Data Management System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정영철 |
dc.contributor.author | 정소희 |
dc.contributor.author | 이기호 |
dc.contributor.author | 김은주 |
dc.contributor.author | 진재현 |
dc.contributor.author | 안수인 |
dc.coverage.temporal | 2020-05-01 - 2020-12-31 |
dc.date.accessioned | 2021-03-25T08:19:51Z |
dc.date.available | 2021-03-25T08:19:51Z |
dc.date.issued | 2020 |
dc.identifier.isbn | 9788968277436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359 |
dc.description.abstract | 연구데이터는 연구 성과와 과정을 개방하고 공유하는 ‘오픈 사이언스 정책(Open Science Policies)’의 핵심이다. 그러나 과학기술계 연구기관과는 달리 경제인문사회계 연구기관에서는 연구데이터 관리와 개방의 중요성이 공론화도 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경제인문사회계 연구기관에서의 오픈 사이언스 정책 필요성을 부각하기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을 중심으로 연구데이터 관리 체계와 활용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오픈 사이언스 관련 정책과 법, 제도 등을 분석하고, 본원의 관련 지침과 관련 사이트를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을 포함한 경제인문사회계 연구기관의 조사데이터 관리 현황과 해당 기관 연구책임자의 연구데이터 관리, 공유, 활용에 관한 인식 및 실태를 온라인 조사를 통해 파악하였다. 연구데이터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통계청의 MDIS,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자료원의 KOSSDA 등과 같은 관련 기관(사이트)과의 벤치마킹 혹은 연계가 필요하며 둘째, 연구 평점 부여 및 기관 혹은 연구회 차원의 인력 및 예산 지원 등과 같은 조사데이터 이관 및 공개에 따른 인센티브 제도 도입과 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조사데이터 활용 논문 경진대회 개최 혹은 조사데이터 활용 성과를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등 조사데이터 활용을 장려하기 위한 방안 도입이 필요하다. 넷째, 내부 혹은 외부에서 사용 가능한 조사데이터 목록 제공을 통한 활용 장려가 필요하다. 다섯째, 수탁 과제의 경우 발주처와의 적극적 협의 혹은 일괄 협약 등을 통해 관리와 제공을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여섯째, 지속적인 교육 및 홍보를 통해 연구자들의 공감대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해외 수요에 맞추어 데이터 영문화 작업도 필요하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e core of “Open Science”, which seeks open and shared research findings and processes, is research data. Open science policies based on research data have been introduced to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where research is conducted to assist in evidence-based policy making. However, unlike the case is with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openness are little discussed in economic and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s. To enhance the value of research data and research efficiency and to highlight the need for open science policies in economic and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s,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 research data management system and a data use plan for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To this end, we analyzed policies, law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open science that are in plac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lso, some of KIHASA’s guidelines and some online sites were examined to identify the status and problems of its research data management. We also conducted online surveys to examine the status of survey data management at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cluding KIHASA, and to understand perceptions of researchers towar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data sharing, and data utilization. To activate the utilization of research data, first, it is necessary to benchmark or link with related organizations (online sites) such as MDIS (Microdata Integrated Service) of Statistics Korea and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cond,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an incentive system and support measures for data transfer and sharing, such as granting research scores and supporting human resources and budgets at the Research Council level. Third, ways need to be sought to encourage the use of survey data, by for example, holding paper contests for survey data users and posting lists of research projects that make use of the data on the website. Fourth, data utilization can be encouraged by providing a list of survey data available internally or externally. Fifth, in the case of commissioned research projects, it is necessary to promote management and provision of data through active discussion or a collective agreement with the ordering organizations. Sixth, it is necessary to form a consensus among researchers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and promotion. Lastly, data should be translated into English to meet the needs of non-Korean-speaking client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17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9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24 제2장 관련 제도 및 정책 분석 27 제1절 오픈 데이터·오픈 사이언스 정책과 연구데이터 관리·활용 정책 29 제2절 우리나라 오픈 사이언스 관련 법·제도 현황 35 제3절 소결 48 제3장 연구데이터 관리 현황 및 문제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례 51 제1절 관련 지침 분석 53 제2절 관련 사이트 분석 60 제3절 소결 67 제4장 연구데이터 관리 체계 및 인식·실태 조사 69 제1절 조사 개요 71 제2절 조사 결과 75 제3절 소결 121 제5장 연구데이터 관리 체계 개선 및 활용 활성화 방안 125 제1절 연구데이터 관리 대상 및 절차 127 제2절 관련 조직 및 위원회 구성 139 제3절 연구데이터 제공 인프라 개편 방안 142 제4절 연구데이터 활용 활성화 방안 151 참고문헌 157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173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전사적 연구데이터 관리 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nterprise-wide Research Data Management System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오픈 사이언스 |
dc.subject.keyword | 조사데이터 관리 체계 |
dc.subject.keyword | 보건복지데이터포털 |
dc.subject.keyword | open science |
dc.subject.keyword | research data management system |
dc.subject.keyword | health and welfare data portal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ung, YoungChul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0-30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0-30 |
dc.citation.date | 2020 |
dc.date.dateaccepted | 2021-03-25T08:19:51Z |
dc.date.datesubmitted | 2021-03-25T08:19:51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기본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A |
dc.subject.nkisMiddle | A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000091_1_1 |
dc.subject.research | 정보통계 |
dc.type.project | 연구개발사업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연개금20-003-00]전사적 연구데이터 관리 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 |
dc.subject.kihasa | 사회보장 통계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