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인터넷을 통한 건강정보의 제공 및 이용 비율이 높으나, 필요한 정보의 탐색이 어렵고, 공공의 믿을만한 건강정보서비스의 제공이 요구됨. - 그러므로 정보협력기관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신뢰할만한 최신의 건강정보를 수집ㆍ검색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국민들에게 서비스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gateway system)을 개발하고자 함.
▣ 주요내용
- 주요 국가(영국, 호주, 캐나다, 미국 등)의 인터넷 건강정보서비스 실태를 분석하여 출판표준, 평가 틀 (기준 및 프로세스), 협력계약, 시스템 운영 등을 개발에 참고함(영국, 호주, 캐나다, 미국). -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실태 및 수요 분석, 정보기술 동향 분석 - 인터넷 건강정보서비스를 위한 전략계획 및 정보화 전략계획 수립 - 건강정보 질 관리체계 수립: 협력기관, 출판표준, 건강정보 평가 틀 - 다양한 건강정보 검색방법, 전문가 칼럼, 건강뉴스 및 행사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웹 사이트 개발 (사이트 명: 건강정보광장, 2004년 5월 오픈 예정)
▣ 기대효과
- 장수사회의 건강정보요구에 적합한 건강지식 함양 및 건강실천의 수단으로 활용될 것임.
- 양질의 건강정보 활용 촉진, 양질의 건강정보의 개발 및 유통 촉진, 건강정보의 사회적 효과성 증진 등
Table Of Contents
Ⅰ. 序論 1. 硏究의 必要性 2. 硏究目的 3. 硏究方法
Ⅱ. 인터넷 健康情報서비스의 理論的 背景 1. 인터넷 健康情報서비스의 意義 2. 인터넷 健康情報의 利用實態 및 質 管理: 旣存硏究 檢討 3. 健康情報 메타데이터의 活用 4. 웹 시스템의 品質保證 方法
Ⅲ. 主要 國家의 인터넷 健康情報서비스 動向 分析 1. 英國: NHS Direct Online 2. 美國: HealthFinder 3. 캐나다: Canadian Health Network 4. 濠洲: HealthInsite 5. 要約
Ⅳ. 主要 情報技術 動向 分析 1. 인터넷 情報檢索 方法 2. 시맨틱 웹 技術 3. 웹 서비스 技術
Ⅴ. 인터넷 健康情報서비스 利用實態 및 需要 分析 1. 調査槪要 2. 인터넷 健康情報 利用實態 分析 3. 健康情報 需要 分析 4. 要約 및 示唆點
Ⅵ. 인터넷 健康情報 게이트웨이시스템 基本計劃 1. 戰略計劃 2. 인터넷 健康情報 質 管理體系 3. 情報化 戰略計劃 (情報아키텍쳐 包含)
Ⅶ. 인터넷 健康情報 게이트웨이시스템 開發 1. 2003年度 시스템 開發 2. "건강정보광장"의 構成 및 機能 3. "건강정보광장"의 設置 및 運營
Ⅷ. 結論 및 政策的 提言 1. 結論 2. 政策的 提言 3. 限界點 및 追加硏究
參 考 文 獻
附 錄
Local ID
연구보고서 2003-19
ISBN
89-8187-311-9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Health and welfare digitization
Health care > Health pro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