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 장애인의 다중격차와 사회정책의 대응 = Multiple Disparities and Social Polic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오욱찬
dc.contributor.author김수진
dc.contributor.author김현경
dc.contributor.author이원진
dc.contributor.author오다은
dc.coverage.temporal2020-02-01 - 2020-12-31
dc.date.accessioned2021-03-15T05:28:33Z
dc.date.available2021-03-15T05:28:33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bn9788968277719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242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삶의 격차에 대해 그 수준과 변화, 그리고 원인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삶의 격차는 장애인의 사회적 요구도가 높은 4대 정책 영역(소득, 노동, 주거, 건강)에 대한 개별적 분석과 함께 다양한 삶의 영역을 포괄하는 다차원적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한국복지패널 7~14차(2011~2018년) 자료를 사용하여, Oaxaca-Blinder의 격차 분해법과 Alkire-Foster의 다차원 빈곤 지수를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소득, 노동, 주거, 건강의 네 영역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개별적 대응과 함께. 여러 영역의 복합적 구조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차원별 박탈의 연계 구조에 대한 대응, 장애인 정책의 기획과 집행에서 부처 간 연계의 구조 마련, 일선 지방자치단체 전달체계에서 장애인의 복합적 욕구에 대한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plored the gap between person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PDWs and non-PWDs) in various policy dimensions in Korea. The analysis of this gap was conducted in the four policy areas with high social demands of PWDs; income, labor, housing, and health. In addition, education, assets, and social security were added to analyze multidimensional poverty consisting of seven dimensions. The 7th~14th (2011~2018) data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were used. As an analysis method, Oaxaca-Blinder’s decomposition method was used, which divides the gap into explained and unexplained gaps. Additionally, Alkire-Foster’s multidimensional poverty index was us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lthough the labor income gap between PDWs and non-PWDs is gradually widening, public transfer income has contributed considerably to narrowing the gap. As a result of decomposing the income gap, characteristics effects accounted for about 60% of the gap, and about 54% of the gap in poverty rates. The gap in the employment rate between PDWs and non-PWDs has recently increased, while the gap in the low-wage rate is gradually decreasing. A large part of the labor gap is represented by coefficients effects, therefore the problem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in the labor market appears to be serious. In the housing area, the gap in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and the overburdened housing cost is gradually narrowing. The gap in unmet healthcare needs, catastrophic medical expenditure, subjective health, and depression is also found to be large, and income levels explain a large part of the gap.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gap between PDWs and non- PWDs was also large. And the duration of multidimensional poverty among PDWs was long and the rate of transition was low. Moreover, the transition of multidimensional poverty was deeply related to the transition of deprivation of health, labor and housing. In the decomposition of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gap between PDWs and non-PWDs, a significant part of the gap was found to be coefficients effects that was explained by social structural cau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vidual responses in four areas of income, labor, housing, and health, and responses to complex structures in multiple dimensions were suggested to reduce the gap between PDWs and non-PW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목적과 내용 9 제2절 선행연구 검토 12 제3절 연구 방법 14 제2장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소득 격차 25 제1절 소득 분야 격차 지표 27 제2절 장애인-비장애인의 소득 격차의 실태와 변화 33 제3절 장애인-비장애인의 소득 격차 분해 58 제4절 시사점 80 제3장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노동 격차 83 제1절 노동 분야 격차 지표 85 제2절 장애인-비장애인의 노동 격차의 실태와 변화 91 제3절 장애인-비장애인의 노동 격차 분해 106 제4절 시사점 128 제4장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주거 격차 131 제1절 주거 분야 격차 지표 133 제2절 장애인-비장애인의 주거 격차의 실태와 변화 145 제3절 장애인-비장애인의 주거 격차 분해 164 제4절 시사점 189 제5장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건강 격차 193 제1절 건강 분야 격차 지표 195 제2절 장애인-비장애인 건강 격차의 실태와 변화 205 제3절 장애인-비장애인의 건강 격차 분해 220 제4절 시사점 267 제6장 장애인의 다차원 빈곤 273 제1절 다차원 빈곤의 차원 및 지표 275 제2절 장애인-비장애인의 다차원 빈곤 280 제3절 다차원 빈곤의 지속과 이행 298 제4절 장애인-비장애인의 다차원 빈곤 격차 분해 309 제7장 결론 및 제언 321 제1절 주요 연구결과 323 제2절 정책 제언 330 제3절 연구의 한계 337 참고문헌 3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370
dc.languageeng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한국 장애인의 다중격차와 사회정책의 대응
dc.title.alternativeMultiple Disparities and Social Polic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장애인
dc.subject.keyword다중격차
dc.subject.keyword다차원 빈곤
dc.subject.keyword불평등
dc.subject.keyword실현능력
dc.subject.keywordpersons with disabilities
dc.subject.keywordmultiple disparities
dc.subject.keywordmultidimensional poverty
dc.subject.keywordinequality
dc.subject.keywordcapability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Ukcha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0-43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0-43
dc.citation.date2020
dc.date.dateaccepted2021-03-15T05:28:33Z
dc.date.datesubmitted2021-03-15T05:28:33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6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000010_1_1
dc.subject.research사회서비스정책연구
dc.type.project기본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기본20-010-00]한국 장애인의 다중격차와 사회정책의 대응
dc.subject.kihasa장애인 복지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장애인 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