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형 재가급여 수급자의 주거환경 및 서비스 제공환경 개선방안 연구 = The Home and Service Environments of Long-Term Care Recipients in Receipt of In-home Care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강은나 |
dc.contributor.author | 배혜원 |
dc.contributor.author | 김세진 |
dc.contributor.author | 선우덕 |
dc.contributor.author | 이민홍 |
dc.contributor.author | 박소정 |
dc.contributor.author | 김준표 |
dc.date.accessioned | 2021-03-03T08:12:49Z |
dc.date.available | 2021-03-03T08:12:49Z |
dc.date.issued | 2020 |
dc.identifier.isbn | 9788968277375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163 |
dc.description.abstract | 인구 고령화는 길어진 노년기를 건강하고 활기차게 보내면서 신체적 혹은 인지적 장애가 발생하여도 자신의 집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받으며 생활가능한 주거환경을 보장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방문형 재가급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수급자의 주거환경이 수급자의 일상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서비스 제공자의 근무환경이 되는 수급자의 주거환경이 서비스 제공자의 업무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노인의 주거환경은 노인의 자립적인 생활을 보장하고, 사고위험을 감소시켜 노인의 건강 도모하고, 노인의 생활범위를 확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노인의 주거환경은 돌봄 제공자의 신체적 그리고 정신적 돌봄 부담을 완화하고, 돌봄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재가급여 수급자가 자신의 집에서 편안하고 안전하고 생활함과 동시에 서비스 제공자에게도 수급자의 집이 적합한 근무 공간이 되기 위한 정책 과제를 제안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he home environments of long-term care recipients who receive the in-home benefits at home affects the recipient’s daily life and how the recipient’s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is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service provider, should change to alleviate the care burden of the service provider. To achieve this goal,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secondary data analysis, focused-group interviews, and a survey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caregivers who provide home-visit care. For older adults, dwelling environments play a particularly important role in independent life. In additi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is associated with caregiver’s burden,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Based on its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y tasks to make the recipient’s home a suitable working space for service providers and a comfortable and safe living environment for the recipien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19 제3절 선행연구 검토 21 제2장 국내외 노인주거환경 개선 정책현황 35 제1절 한국 37 제2절 일본 62 제3절 독일 106 제4절 미국 129 제3장 방문형 재가급여 이용 및 제공 현황 161 제1절 방문형 재가급여 이용 현황 163 제2절 방문형 재가급여 제공 현황 192 제3절 방문형 재가급여 제공환경 질적 분석 210 제4장 방문요양 제공자의 서비스 환경 실태조사 237 제1절 실태조사 개요 239 제2절 수급자의 주거환경과 서비스 제공환경 241 제3절 서비스 제공환경과 서비스 제공자의 근로성과 282 제4절 소결 301 제5장 결론 305 제1절 연구요약 307 제2절 정책적 시사점 315 제3절 연구의 한계 322 참고문헌 325 부록 345 [부록 1] 방문요양 제공자의 서비스환경 실태조사 조사표 345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367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방문형 재가급여 수급자의 주거환경 및 서비스 제공환경 개선방안 연구 |
dc.title.alternative | The Home and Service Environments of Long-Term Care Recipients in Receipt of In-home Care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노인장기요양보험 |
dc.subject.keyword | 재가급여 |
dc.subject.keyword | 노인주거환경 |
dc.subject.keyword | 서비스 제공자 |
dc.subject.keyword | 요양보호사 |
dc.subject.keyword | long-term care insusance |
dc.subject.keyword | in-home benefits |
dc.subject.keyword | the senior residential environment |
dc.subject.keyword | service provider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ang, Eunna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0-23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0-23 |
dc.citation.date | 2020 |
dc.citation.date | 2020 |
dc.date.dateaccepted | 2021-03-03T08:12:49Z |
dc.date.datesubmitted | 2021-03-03T08:12:49Z |
dc.type.research | 정책 |
dc.type.nkis | 일반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5 |
dc.subject.kihasa | 고령화대응 |
dc.subject.kihasa | 노인복지 |
dc.identifier.dataportal | https://www.kihasa.re.kr/dataportal/kor/contents/ContentsList.html?menuId=2010117&rootId=2010001&dtb_year=2020&dtb_subject=%EB%B0%A9%EB%AC%B8%EC%9A%94%EC%96%91+%EC%A0%9C%EA%B3%B5+%EC%9A%94%EC%96%91%EB%B3%B4%ED%98%B8%EC%82%AC%EC%9D%98+%EC%84%9C%EB%B9%84%EC%8A%A4+%EC%A0%9C%EA%B3%B5%ED%99%98%EA%B2%BD+%EC%8B%A4%ED%83%9C%EC%A1%B0%EC%82%AC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