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는 폭염, 장마, 가뭄, 태풍 등 극단적인 기상현상으로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기후변화를 야기하는 것에 대한 책임 정도와 달리 그 피해는 사회계층, 세대 간 불공정하게 나타난다. 폭염을 포함한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과 회복력은 모든 개인이나 인구집단에 동등하게 나타나지 않으며, 특정 계층에게 더 피해가 크다는 점에서 민감계층의 건강피해는 국가와 지역이 개입해야 하는 사회구조적 문제이다. 미래의 기후변화가 가변적일 뿐 아니라 지역적, 사회적으로 관심을 두어야 할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도 계속적으로 새롭게 확인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에게 중요하게 나타나는 건강문제, 문제의 크기, 인구집단별 피해와 적응 역량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생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폭염 민감계층의 건강영향을 평가하고 대응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이들의 건강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3 제2장 폭염에 대한 건강적응정책 동향 17 제1절 우리나라의 폭염에 대한 건강적응정책 19 제2절 미국의 폭염에 대한 건강적응정책 37 제3절 영국의 폭염에 대한 건강적응정책 50 제3장 폭염 민감계층의 건강 모니터링 지표 개발 65 제1절 국내외 모니터링 지표 현황 67 제2절 선행연구의 모니터링 지표 고찰 106 제3절 폭염 민감계층 대상 모니터링 지표 개발 결과 132 제4장 폭염 민감계층의 건강영향과 적응실태 분석 145 제1절 조사 내용 및 방법 147 제2절 모니터링 지표 산출 결과 154 제3절 민감계층 대상 면담 조사 결과 197 제5장 결론 211 제1절 폭염 민감계층의 적응 실태와 한계 213 제2절 폭염 민감계층 지원을 위한 정책 방향 224 제3절 폭염 민감계층의 건강 모니터링 개선 방향 239 참고문헌 245 부 록 261 [부록 1] 전화조사표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