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이현주 |
dc.contributor.author | 강희정 |
dc.contributor.author | 류정희 |
dc.contributor.author | 손병돈 |
dc.contributor.author | 이재원 |
dc.contributor.author | 박형존 |
dc.contributor.author | 김성아 |
dc.date.accessioned | 2020-10-14T07:59:16Z |
dc.date.available | 2020-10-14T07:59:16Z |
dc.date.issued | 201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6442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행정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보장제도의 현황에 대한 종합적 분석과 정책적 함의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사회보장제도, 즉 사회보험․공공부조․기타 소득보장제도와 서비스가 대상 포괄성의 수준에서 어느 정도 국민의 생활안정을 보장할 수 있는지, 그리고 가능한 수준에서 실험적으로 충분성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생성하고자 한다. 그리고 앞의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사회보장제도가 국민의 삶을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있어 무엇을 보완하여 나가야 하는지, 정책과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사회보장제도를 이해하기 위한 분석에서 행정자료를 활용함에 있어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 차 요 약 1 제1장 서론: 연구개요 29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연구목적 31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33 제3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36 제2장 기존 정책평가의 경향과 한계 37 제1절 기존 정책평가 연구의 경향 39 제2절 기존 정책평가의 한계와 본 연구의 의의 44 제3장 자료의 구성과 분석틀 47 제1절 행정 빅데이터 활용의 배경 49 제2절 자료의 범위와 분석틀 52 제3절 자료의 추출과 대표성 검증 57 제4장 분석결과1: 기초분석과 제도형태별 분석 61 제1절 소득・재산・연령 등 표본의 특성 분석 63 제2절 사회보험 가입 71 제3절 공공부조: 생계급여 중심 81 제5장 분석결과2: 소득보장 87 제1절 소득보장 종합 분석 89 제2절 노인 소득보장 104 제3절 근로연령층 소득보장 134 제4절 아동 소득보장 144 제5절 장애인 소득보장 167 제6절 주거와 교육보장 172 제6장 분석결과3: 서비스보장 181 제1절 서비스보장 종합 분석 183 제2절 돌봄서비스보장 185 제3절 의료서비스보장 210 제7장 종합 분석과 정책과제 261 제1절 소득‧서비스보장 종합 분석과 시사점 263 제2절 행정 빅데이터 활용 후속 연구의 과제 266 참고문헌 273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289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보건복지부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사회보장제도의 소득·서비스보장 현황과 정책과제 연구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type.other | 정책보고서 |
dc.identifier.url | https://www.prism.go.kr/homepage/asmt/popup/1351000-201800058 |
dc.identifier.localId | 정책보고서 2018-92 |
dc.citation.date | 2018 |
dc.date.dateaccepted | 2020-10-14T07:59:16Z |
dc.date.datesubmitted | 2020-10-14T07:59:16Z |
dc.type.research | 정책 |
dc.type.nkis | 수탁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subject.kihasa | 보건복지 정보화 |
dc.subject.kihasa | 소득보장 일반 |
dc.subject.kihasa | 사회서비스 일반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