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신현웅 |
dc.contributor.author | 윤석명 |
dc.contributor.author | 최병호 |
dc.contributor.author | 김재진 |
dc.contributor.author | 김병덕 |
dc.contributor.author | 여나금 |
dc.contributor.author | 안수인 |
dc.contributor.author | 오수진 |
dc.contributor.author | 박정훈 |
dc.date.accessioned | 2020-10-08T06:35:38Z |
dc.date.available | 2020-10-08T06:35:38Z |
dc.date.issued | 2017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6363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소득중심으로의 부과요소 개선 및 부과소득 범위 확대 검토를 통해 향후 건강보험료 부과기반 강화에 기여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함. - 특히, 본 연구는 2017년 3월 발표된 개편안 이후에 향후 소득중심 부과체계 달성을 위해 추가적 논의가 필요한 부과요소 및 부과소득 범위에 중점을 두고 건강보험료 부과기반 강화방안을 검토해 보고자 함.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 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3 제2절 연구목적 7 제2장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현황 진단 및 최근의 개편안 검토 9 제1절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현황 11 제2절 최근의 개편안 검토 15 제3장 주요국의 부과체계 현황 고찰 및 시사점 도출 21 제1절 주요국의 보험료 부과체계 고찰의 의의 23 제2절 일본 사례 고찰 27 제3절 대만 사례 고찰 32 제4절 독일 사례 고찰 36 제5절 프랑스 사례 고찰 40 제4장 소득의 개념 및 소득파악 여건진단 43 제1절 소득의 개념 및 소득파악 여건진단 개요 45 제2절 소득의 개념 및 소득세 과세체계 46 제3절 보험료 부과소득 개념과 소득별 부과소득 간 성격차이 66 제4절 자영업자 소득파악 여건진단 73 제5장 건강보험료 부과를 위한 소득파악 현황 및 여건진단 75 제1절 지역가입자 소득파악 현황 및 여건진단 개요 77 제2절 건강보험료 부과자료를 통해 본 지역가입자 소득파악 현황 85 제3절 조사자료를 통해 본 지역가입자 생활수준 현황 88 제4절 자영업자 소득파악률을 통해 본 지역가입자 소득파악 현황 90 제5절 특수형태 근로종사자의 건강보험 자격을 둘러싼 논의 94 제6장 부과소득 확대추진 방안 99 제1절 분리소득 보험료 부과 여건진단 개요 101 제2절 일용근로 소득 107 제3절 금융 소득 117 제4절 연금 소득 128 제5절 주택임대 소득 132 제6절 기타소득 및 농림어업소득 136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언 143 제1절 지역가입자 부과요소 범위 개선방안 검토 145 제2절 건강보험료 부과소득 범위 확대방안 검토 151 참고문헌 157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169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국민건강보험공단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건강보험료 부과기반 강화를 위한 연구(요약본) - 소득의 정합성(소득의 질 확보) 제고 방안 및 분리과세 확보와 부과 방안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type.other | 정책보고서 |
dc.identifier.localId | 정책보고서 2017-52 |
dc.citation.date | 2017 |
dc.date.dateaccepted | 2020-10-08T06:35:38Z |
dc.date.datesubmitted | 2020-10-08T06:35:38Z |
dc.type.research | 정책 |
dc.type.nkis | 수탁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subject.kihasa | 보건의료 안전망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