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자활사업의 정책효과 분석 및 평가방안 연구

Title
자활사업의 정책효과 분석 및 평가방안 연구
Author(s)

정해식고혜진김수진정은희 ; 한겨례

Keyword
자활사업 ; 성과평가 ; 결과평가
Publication Year
2019
Publisher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Abstract
□ 자활사업 참여대상자 특성 분석
- 자활사업 참여대상자의 특성을 구분하고, 참여자 유형별 정책 목표 구분의 타당성 검토
□ 자활사업 참여의 효과 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 및 분석
- 경제적 효과 측정 지표 및 방법론 개발, 비물질적·사회적 효과 측정 및 방법론 개발
- 자활사업을 통해 보호된 일자리 제공 및 자활급여 지급을 통한 경제적 효과를 측정
- 자활사업 참여를 통한 자아존중감 증대, 사회적 관계 회복 등 사회적 효과에 대한 분석
□ 자활사업 효과성 제고를 위한 개선 방안 마련
- 자활사업의 정책목표를 집단별로 구분하여 제시
Table Of Contents
요 약 1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16
제2장 자활사업 평가 관련 선행연구 검토 19
제1절 자활사업 정책 효과 평가 현황 21
제2절 자활사업 평가지표 개선에 관한 선행 연구 32
제3절 소결 36
제3장 자활사업 참여의 경제적 성과 Ⅰ 39
제1절 자활사업 참여자의 경제적 효과 분석용 데이터 구축 41
제2절 자활사업 참여자 특성 분석 43
제3절 참여 자활사업 유형별 성과 50
제4절 자활장려금 수령의 경제적 효과 64
제5절 한국복지패널을 이용한 일자리 사업 효과 분석 74
제6절 소결 81
제4장 자활사업 참여의 경제적 성과 Ⅱ 83
제1절 자활참여자 의료 이용 행태 변화 분석의 필요성 85
제2절 연구방법 86
제3절 분석결과 90
제4절 소결 106
제5장 자활사업 참여의 비물질적·사회적 효과 109
제1절 자활사업 참여의 비물질적·사회적 효과 측정의 필요 111
제2절 연구방법 112
제3절 참여자 인터뷰 결과 116
제4절 소결 146
제6장 결론 151
제1절 자활사업 정책 효과 평가 방안 153
제2절 자활사업 효과 평가 실시 방안 157
참고문헌 161
부록 165
Local ID
정책보고서 2019-113
Fulltext
https://www.prism.go.kr/homepage/asmt/popup/1351000-202000049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소득보장 > 노동연계복지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