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소득 불평등 및 아동의 양육 환경 - 전국적 임상 기반 연구 = Income Inequality and Child Rearing Environment in Japan - A Nationwide Clinically Based Study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다케우치 하지메 |
dc.contributor.author | 사토 요이치 |
dc.contributor.author | 야마구치 에리 |
dc.contributor.author | 와다 히로시 |
dc.contributor.author | 아넬리 이바르손 |
dc.date.accessioned | 2020-09-29T10:34:07Z |
dc.date.available | 2020-09-29T10:34:07Z |
dc.date.issued | 2020-09-30 |
dc.identifier.isbn | 2586-0844 |
dc.identifier.issn | 2586-0844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6293 |
dc.identifier.uri | http://dx.doi.org/10.23063/2020.09.8 |
dc.description.abstract | 빈곤 환경에서 성장한 아동은 성인이 되어서도 열악한 삶을 살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는 고소득 국가에 거주하는 아동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일례로 경제협력개발기구 가족 데이터베이스(OECD Family Database)에 따르면, 2014년 일본 아동의 상대적 빈곤 수준은 OECD 전체 회원국 37개국 중 26위에 머물렀다. 전국 의료기관의 협력을 통해 일본의 소득 불평등 및 아동의 양육 환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0~15세 아동 및 아동의 돌봄자를 대상으로 2014~2015년에 걸쳐 3개의 횡단연구를 실시했다. 응답자 2214명 중 1907명(86%)이 가구 소득 및 가구 구성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 대상 아동의 5분의 1이 상대적 빈곤층이고 이 중 10분의 1이 공적부조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부모가정의 3분의 2는 빈곤층이며, 빈곤층 부모 중 5분의 2는 자신의 생활 환경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이 글은 재정 자원 부족과 역량 박탈 문제를 해결하고 아동빈곤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회 전체가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더욱 적극적인 정책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을 정책 제안으로 제시한다.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 | application/octet-stream |
dc.format | application/octet-stream |
dc.format.extent | 12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일본의 소득 불평등 및 아동의 양육 환경 - 전국적 임상 기반 연구 |
dc.title.alternative | Income Inequality and Child Rearing Environment in Japan - A Nationwide Clinically Based Study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description.eprintVersion | published |
dc.identifier.doi | 10.23063/2020.09.8 |
dc.citation.title | 국제사회보장리뷰 |
dc.citation.title |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
dc.citation.volume | 2020 |
dc.citation.volume | 14 |
dc.citation.number | 가을 |
dc.citation.date | 2020-09-30 |
dc.citation.startPage | 95 |
dc.citation.endPage | 105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국제사회보장리뷰 2020년 가을 14호, pp.95-105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2020 No.가을 14, pp.95-105 |
dc.date.dateaccepted | 2020-09-29T10:34:07Z |
dc.date.datesubmitted | 2020-09-29T10:34:07Z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