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보건분야 ODA 선진화 방안

제목
보건분야 ODA 선진화 방안
저자

황나미 ; 김통원 ; 박재현 ; 박찬용 ; 유원섭

발행연도
2012
발행기관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첫째, 국제사회의 ODA 환경변화 및 원조성과 제고를 위한 권고사항을 파악하여 보건분야 ODA 선진화를 위한 시사점 도출
둘째, OECD/DAC 가입국가의 ODA 추진조직 및 보건분야 ODA에 대한 정부부처의 역할 규명 및 연계실태 파악
셋째, 우리나라 ODA 현황 및 보건분야 ODA 전달체계 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
넷째, 우리나라 보건분야 ODA 집행기관의 역량 진단 및 전문성 제고 방안 제시
다섯째, 우리나라 보건분야 ODA 선진화의 목적 규명 및 정책적, 조직적, 기술적 측면에서의 추진전략 제시
목차
목 차

요약 1

제1장 서 론 17
1. 연구배경 17
2. 연구목적 24
3. 연구내용 및 범위 25
4. 연구방법 28

제2장 국제사회의 ODA 환경변화 33
1. ODA 사업 정의 및 유형 33
2. 시대별 ODA 당면과제 및 주요전략 43
3. 새천년개발목표 설정 및 달성도 46
4. 원조성과 제고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57

제3장 국제사회 보건분야 ODA 현황 및 환경변화 73
1. 보건분야 ODA 사업 범위 73
2. 국제사회의 보건분야 ODA 사업규모 76
3. 국제기구의 보건분야 ODA 파트너십 78
4. 보건분야와 사회적 보호와의 통합 접근 93

제4장 선진국 ODA 조직 및 보건분야에 대한 정부 역할 105
1. OECD DAC 회원국의 국제개발협력 및 원조 조직 유형 105
2. 일본의 보건분야 국제개발협력 조직 발전 현황 117
3. 미국의 국제개발협력 조직 및 보건분야 ODA 활동 124
4. 영국의 국제개발협력 조직 발전 현황 136
5. OECD/DAC 회원국의 국제개발협력 조직의 시사점 143

제5장 한국의 ODA 현황 및 환경변화 149
1. 한국의 ODA 역사 149
2. 한국의 ODA 사업 현황 153
3. 한국의 ODA 사업에 대한 평가 158
4. ODA 선진화를 위한 개혁 활동 161

제6장 한국의 보건분야 ODA 사업추진 및 전달체계 171
1. 보건분야 ODA 사업 조직 및 활동 171
2. 보건분야 ODA 기관의 역량 진단 및 SWOT 분석 200
3. 비교우위 보건분야 ODA 사업 205
4. 보건분야 ODA 사업 향상을 위한 정부의 활동 207

제7장 한국의 보건분야 ODA 선진화를 위한 추진전략 213
1. 보건분야 ODA 선진화 목적 213
2. 보건분야 ODA 선진화를 위한 추진방향 214
3. ODA 성과 제고를 위한 보건분야 중점협력국 선정 218
4. 수원국 주인의식 고취를 위한 수원국 개발전략과의 일관성 확보 228
5. 수원국 자생력 확보를 위한 프로그램형 접근 232
6. ODA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국내 ODA 기관의 역할 분담화 258
7. 국내 부처간, 수원국공여국과의 파트너십 형성 및 강화 271
8. ODA 성과 지향적 모니터링 및 평가체계 적용 274
9. 보건복지부 보건분야 ODA 강화 전략 279

참고문헌 / 287

부 록 / 295
보고서 번호
정책보고서 2012-10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보건의료 서비스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