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근로자의 재활서비스 이용 욕구와 성공적인 직업복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Needs for Using Rehabilitation Services and Successful Return-to-work of Injured Workers: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이윤진 |
dc.contributor.author | 이다미 |
dc.date.accessioned | 2020-06-05T05:23:12Z |
dc.date.available | 2020-06-05T05:23:12Z |
dc.date.issued | 2015-07-31 |
dc.identifier.issn | 1976-2984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5415 |
dc.description.abstract | 우리나라 산재보험 제도에서 재활서비스 영역은 산재근로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발전을 거듭하여왔다. 특히 2001년의 재활사업 5개년 계획 수립 이후 산재근로자의 직업 복귀율은 점차 향상하고 있다. 하지만 재활서비스 영역의 양적 증가 및 수치화된 직업 복귀율이 실질적인 재활서비스의 발전과 직업복귀의 지속적인 성공을 담보한다고는 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변수인 산재근로자들의 재활서비스 이용에의 필요성 인식, 즉 이용 욕구가 성공적인 직업복귀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재의 산재보험 재활서비스가 개별적인 산재근로자들의 이용 욕구에 부응하여 운영되고 있는가를 직업 복귀 이후의 직장에서의 생활을 고려한 ‘성공적인 직업복귀’의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재활서비스와 직업복귀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제1차 산재보험패널(PSWCI) 데이터를 이용하여 직업복귀를 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성공적인 직업복귀에 재활서비스 이용 욕구가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가지게 되는지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재활서비스 이용 욕구는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인 직업복귀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능감은 성공적인 직업복귀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재활서비스 이용 욕구와 성공적인 직업복귀 간의 관계를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직업복귀는 원직업복귀를 궁극적인 목표로 함에 따라 부가적으로 원직에 복귀한 집단과 타직에 복귀한 집단을 비교하였으나 이들 간의 차이는 검증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산재보험의 궁극적 목적인 직업복귀에 대한 평가는 단순히 재취업 여부의 지표만이 아닌 질적 측면에서 성공적인 직업복귀를 하였는지가 고려되어야 하고, 이는 재활서비스가 대상자의 필요성 및 욕구에 부합하여 운영될 때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산재근로자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심리재활 프로그램이 직업복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운영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dc.format.extent | 25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충남대 사회과학연구소 |
dc.title | 산재근로자의 재활서비스 이용 욕구와 성공적인 직업복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 | The Study on Needs for Using Rehabilitation Services and Successful Return-to-work of Injured Workers: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Academic) |
dc.subject.keyword | 산재보험 |
dc.subject.keyword | 재활서비스 |
dc.subject.keyword | 직업복귀 |
dc.subject.keyword | 자기효능감 |
dc.subject.keyword | 재활서비스 이용 욕구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이다미 |
dc.identifier.doi | 10.16881/jss.2015.07.26.3.3 |
dc.identifier.url | https://doi.org/10.16881/jss.2015.07.26.3.3 |
dc.identifier.localId | KIHASA-3767 |
dc.citation.title | 사회과학연구 |
dc.citation.volume | 26 |
dc.citation.number | 3 |
dc.citation.date | 2015 |
dc.citation.startPage | 3 |
dc.citation.endPage | 27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사회과학연구, vol. 26, no. 3, pp. 3 - 27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