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에서 '좋은' 시간제 일자리는 가능한가? = Is the Qualified Part-Time Jobs Possible in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남재욱
dc.contributor.author이다미
dc.date.accessioned2020-06-05T05:23:06Z
dc.date.available2020-06-05T05:23:06Z
dc.date.issued2020-03-31
dc.identifier.issn1226-052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540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의 시간제 일자리가 정부의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계속 열악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원인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정책 실패에 초점을 두었던 기존 연구들과 달리, ‘좋은’ 시간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요인과 한국의 노동시장 제도 간에 정합성이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시간제 일자리는 고용조건을 평가하는 모든 지표에서 가장 열악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제 일자리가 열악한 주요 원인은 고용형태나 시간제 일자리 내부의 양극화보다는 시간제 일자리의 대부분이 서비스 부문 소기업에서 창출되고 있는 것에 있었으며, 이는 한국 서비스 산업의 낮은 생산성과 극심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로 인해 심화된다. 셋째, 사용자를 중심으로 놓고 볼 때, 좋은 시간제 일자리의 외면은 숙련배제적 생산으로 인한 노동자 보유(retention) 불필요, 초과근로 · 한시적 근로 · 외주/하청 등 유연성 확보 대안의 존재, 노동조합 · 정부 등의 외부 압력 부재 혹은 부족, 장시간 노동문화 등 노동시장 제도 환경의 영향이 광범위하게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노동시장의 전반적인 제도 환경을 개선하고, 좋은 시간제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민간 지원 중심의 정책에서 노동자의 근로시간 결정권 확대 및 동등처우 법적 보장 중심 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dc.format.extent2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사회정책학회
dc.title한국에서 '좋은' 시간제 일자리는 가능한가?
dc.title.alternativeIs the Qualified Part-Time Jobs Possible in Korea?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Academic)
dc.subject.keyword시간제 일자리
dc.subject.keyword장시간 노동체제
dc.subject.keyword노동시간 유연성
dc.subject.keyword노동시장 제도
dc.subject.keyword제도적 상호보완성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다미
dc.identifier.doi10.17000/kspr.27.1.202003.187
dc.identifier.urlhttps://doi.org/10.17000/kspr.27.1.202003.187
dc.identifier.localIdKIHASA-3759
dc.citation.title한국사회정책
dc.citation.volume27
dc.citation.number1
dc.citation.date2020
dc.citation.startPage187
dc.citation.endPage21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사회정책, vol. 27, no. 1, pp. 187 - 211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