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탈시설 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 경로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Pathways from Institutions to Community Living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오욱찬
dc.contributor.author김성희
dc.contributor.author박광옥
dc.contributor.author오다은
dc.date.accessioned2020-03-09T06:17:27Z
dc.date.available2020-03-09T06:17:27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isbn978896827632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4424
dc.description.abstract장애인에 대한 탈시설화 정책과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지원 방식은 이미 국제적으로 보편화되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거주시설 보호가 장애인에 대한 주된 지원 형태로 존재한다. 이 연구는 최근 장애인에 대한 탈시설화 정책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구체적인 정책 설계를 위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거주시설에서 자발적으로 퇴소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 25명의 주거이동 경로와 지역사회 정착 과정에서의 경험을 조사하였다. 또한 사례 연구 방법에 의해 탈시설 장애인의 주거이동 패턴, 탈시설 촉진 및 저해 요인, 생활 영역별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필요한 서비스 전달체계와 지역사회 정착 단계별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13 제2장 이론적 배경 19 제1절 탈시설화 및 탈시설의 개념 21 제2절 한국 장애인의 탈시설 욕구와 경험 34 제3절 장애인의 탈시설 촉진 및 저해 요인 54 제3장 국내외 장애인 탈시설화 정책 71 제1절 한국의 장애인 탈시설화 정책 추진 과정 73 제2절 한국의 탈시설 장애인 초기 정착 지원 84 제3절 탈시설화 정책 국외 사례: 캐나다 온타리오 100 제4장 탈시설 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 경로 분석 119 제1절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121 제2절 탈시설 장애인의 주거이동 패턴 135 제3절 지역사회 정착 경로의 진입 촉진 및 저해 요인 198 제4절 생활 영역별 지역사회 정착 경험 252 제5장 결 론 307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309 제2절 정책 제언 317 참고문헌 323 부 록 351 부록 1. 연구참여자 설명서 및 동의서(당사자용) 341 부록 2. 연구참여자 설명서 및 동의서(당사자용): 발달장애인용 쉬운 글 버전 345 부록 3. 연구참여자 설명서 및 동의서(사례담당자용) 349 부록 4. 면접 질문지 3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36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탈시설 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 경로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the Pathways from Institutions to Community Living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장애
dc.subject.keyword탈시설
dc.subject.keyword지역사회 생활
dc.subject.keyword자립생활
dc.subject.keyword거주시설
dc.subject.keyword시설 보호
dc.subject.keyword사례 연구 방법
dc.subject.keyworddisability
dc.subject.keyworddeinstitutionalization
dc.subject.keywordcommunity living
dc.subject.keywordindependent living
dc.subject.keywordresidential institution
dc.subject.keywordinstitutional care
dc.subject.keywordcase study method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9-10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9-10
dc.date.dateaccepted2020-03-09T06:17:27Z
dc.date.datesubmitted2020-03-09T06:17:27Z
dc.type.research기초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kihasa장애인 복지
dc.subject.kihasa지역사회보장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지역사회보장
사회서비스 > 장애인 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