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읍면동 민관협력이 복지사각지대 해소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읍면동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private-public partnership on alleviation of welfare blind spots: Foucesd on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in Gyeonggi Provinc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영글
dc.contributor.author박성준
dc.contributor.author함영진
dc.date.accessioned2020-02-07T04:47:26Z
dc.date.available2020-02-07T04:47:26Z
dc.date.issued2019-02-28
dc.identifier.issn2005-8349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373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읍면동에서 이루어진 민관협력이 복지사각지대 해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2018년 1월부터 6월 말까지의 기간 동안 입력된 경기도 읍면동 주민센터의 행정자료를 활용하여 실증 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민관협력을 대변하는 변수는 인적안전망 인원, 민관협력 지역 특화사업 운영여부, 민관협력 홍보 빈도, 자체교육 실시 빈도,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회의 개최 빈도로 조작화 하였다. 사각 지대해소는 사각지대 발굴건수, 공적급여 연계건수, 민간급여 연계건수로 조작화 하였다. 읍면동이 속한 시군구의 특성과 읍면동의 특성은 통제변수로서 분석모형에 포함하였댜 분석 방법으로는 첫째, 기술분석을 활용하여 읍면동 지역사회보 장협의체에서 이루어진 민관협력 활동과 복지사각지대 해소 현황을 검토하였고, 둘째, 읍면동 민관협력과 복지사각지대 해소의 관계를 음이항회귀분석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한 분석결과는 E梧층과 같다. 첫째, 민관협력 활동을 위한 읍면동의 자체교육 실시 빈도와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회의 개최 빈도는 복지사각지대 발굴 건수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적안전망 인원과 민관협력 지역특화사업 운영은 공적급여 연계 빈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댜 셋째,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회의 개최 빈도는 민간급여 연계건수와 유의미한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고層} 바탕으로 읍면동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dc.format.extent22
dc.languagekor
dc.publisher경기개발연구원
dc.title읍면동 민관협력이 복지사각지대 해소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읍면동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The effects of private-public partnership on alleviation of welfare blind spots: Foucesd on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in Gyeonggi Province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Academic)
dc.subject.keyword민관협력
dc.subject.keyword복지사각지대
dc.subject.keyword사회서비스
dc.subject.keyword읍면동정책
dc.subject.keyword지역복지
dc.subject.keywordBasic administrative district policy
dc.subject.keywordcommunity welfare
dc.subject.keywordsocial service
dc.subject.keywordprivate-public partnership
dc.subject.keywordwelfare blind spot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함영진
dc.identifier.urlhttps://www.gri.re.kr/web/contents/treatises01.do?schM=list&page=2&viewCount=10&schPrjType=TRE&schStartYear=&schEndYear=&schSubj1=&schSubj2=#none
dc.identifier.localIdKIHASA-3092
dc.citation.titleGRI연구논총
dc.citation.volume21
dc.citation.number1
dc.citation.date2019
dc.citation.startPage219
dc.citation.endPage24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GRI연구논총, vol. 21, no. 1, pp. 219 - 240
Show simple item record

Link

share

qrcode
share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