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분절 노동시장과 남성 청년 = Segmented Labor Market and Male Young Adult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정세정
dc.date.accessioned2020-02-07T04:47:18Z
dc.date.available2020-02-07T04:47:18Z
dc.date.issued2019-12-31
dc.identifier.issn1598-899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372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남성 청년의 안정 노동 이행을 교차성의 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 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2014를 활용하였으며, 안정 노동은 고용 안정성의 관점에서 정의되었 다. 분석에 따르면, 젠더와 불안정 노동 경험을 교차했을 때, 안정 노동 이행률은 불안정 노동 경험이 없는 남성 청년이 가장 높고 불안정 노동 경험이 없는 여성, 불안정 노동 경험이 있는 여성, 불안정 노동 경험이 있는 남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는 분절 노동시장 하에서의 젠더 차별을 다룬 그간의 논의와 일치하는 양상과 그렇지 않은 양상 모두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복합적이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남성 청년에게 작동하는 안정 노동 이행 규칙이 존재 할 가능성, 둘째, 젠더별 불안정 노동의 성격이 다를 가능성, 셋째, 남성 청년의 집단 내 이질성 증가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dc.format.extent29
dc.languagekor
dc.publisher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dc.title분절 노동시장과 남성 청년
dc.title.alternativeSegmented Labor Market and Male Young Adult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Academic)
dc.subject.keyword분절 노동시장
dc.subject.keyword남성 청년
dc.subject.keyword불안정 노동
dc.subject.keyword젠더
dc.subject.keyword교차성
dc.subject.keywordSegmented Labor Market
dc.subject.keywordMale Young Adults
dc.subject.keywordPrecarious Work
dc.subject.keywordGender
dc.subject.keywordIntersectionality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세정
dc.identifier.doi10.46415/jss.2019.12.26.4.143
dc.identifier.urlhttps://doi.org/10.46415/jss.2019.12.26.4.143
dc.identifier.localIdKIHASA-3082
dc.citation.title사회과학연구
dc.citation.volume26
dc.citation.number4
dc.citation.date2019
dc.citation.startPage143
dc.citation.endPage17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사회과학연구, vol. 26, no. 4, pp. 143 - 171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