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아동센터의 공공성 인식에 대한 포토보이스 연구 = A photovoice study on the perception of publicness in community child centers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홍나미 |
dc.contributor.author | 정익중 |
dc.contributor.author | 김시아 |
dc.contributor.author | 김지선 |
dc.contributor.author | 강지원 |
dc.date.accessioned | 2020-02-07T04:46:54Z |
dc.date.available | 2020-02-07T04:46:54Z |
dc.date.issued | 2019-09-30 |
dc.identifier.issn | 1226-2609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3701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돌봄의 현장을 오랜 기간 동안 지켜온 시설장들 의 인식을 통해 공공성의 의미를 탐색하고, 시설장들의 경험에서 발견된 지 역아동센터의 공공성 개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참여 적 행동연구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 구결과 3개의 대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공공성의 시작, 지 역아동센터 존재 의미는 ‘온 몸으로 품은 돌봄의 시간’, ‘소중한 이웃의 뜨 거운 관심’이었다. 지역아동센터 공공성 핵심요소는 ‘투명성’, ‘개방성’, ‘체 계성’, ‘책무성’, ‘방향성’, ‘참여성’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요소의 개념을 명 료화하였다. 공공성을 갖춘 지역아동센터 상(像)은 ‘관계맺음을 통한 책임 돌봄’, ‘일상을 유지하는 힘을 키우는 공간’, ‘공동체 안에서 성장하는 아이 들의 안전망’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공공성에 대해 일방적인 주 장을 하거나 외부의 사건에 휘둘렸던 모습에서, 공공성의 의미를 고민하고 주도적으로 공공성 개념을 이끌어내려는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는 포토보 이스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지역아동센터 시설장들이 주체적이며 자발적으 로 공공성의 의미를 파악하고 공공성의 개념을 재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 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보다 많은 지역아동센터가 공공성에 대해 이해 하고 공공성을 구체적으로 구현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dc.format.extent | 42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아동복지학회 |
dc.title | 지역아동센터의 공공성 인식에 대한 포토보이스 연구 |
dc.title.alternative | A photovoice study on the perception of publicness in community child centers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Academic) |
dc.subject.keyword | 지역아동센터 |
dc.subject.keyword | 공공성 |
dc.subject.keyword | 공공성 요소 |
dc.subject.keyword | 포토보이스 |
dc.subject.keyword | community child centers |
dc.subject.keyword | publicness |
dc.subject.keyword | elements of publicness |
dc.subject.keyword | photovoice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강지원 |
dc.identifier.url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215719 |
dc.identifier.localId | KIHASA-3054 |
dc.citation.title | 한국아동복지학 |
dc.citation.volume | 67 |
dc.citation.date | 2019 |
dc.citation.startPage | 91 |
dc.citation.endPage | 132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한국아동복지학, vol. 67, pp. 91 - 132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