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contributor.author | 남정자 |
dc.contributor.author | 조성현 |
dc.contributor.author | 이상호 |
dc.contributor.author | 최진우 |
dc.date.accessioned | 2010-11-08T11:09:37Z |
dc.date.available | 2010-11-08T11:09:37Z |
dc.date.issued | 2002 |
dc.identifier.isbn | 89-8187-267-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35 |
dc.description.abstract | □ 남북한 교류협력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질성 극복과 민족화해를 보건의료 분야에서 실현하는 것임.
□ 보건의료 분야는 체제에 덜 위협적이고 정치적 환경에 덜 민감하기 때문에 남북관계가 경색되는 상황에서도 교류협력의 지속성을 가질 수 있는 분야임. 따라서 교류협력의 전형이 될 수 있음.
□ 이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 보건의료제도의 이질적 요소를 줄여 나가면서 통일비용 절감 및 사회적 통합의 조기달성을 위해 보건의료분야에서 남북한 교류협력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있음.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序 論
1. 硏究 背景
2. 硏究 目的
3. 硏究 方法
Ⅱ. 南北韓 保健醫療分野 交流協力의 背景과 必要性
1. 南北 交流協力의 法 制度的 背景
2. 南北 保健醫療 交流協力의 動機와 必要性
Ⅲ. 北韓의 保健醫療制度 및 實態
1. 北韓의 保健醫療制度
2. 北韓의 保健醫療 實態
Ⅳ. 南北 保健醫療 交流協力의 現況
1. 保健醫療分野 對北 人道的 支援 現況
2. 保健醫療分野 交流協力 現況
Ⅴ. 南北韓 保健醫療 交流 協力의 原則과 方向
1. 現 政府의 統一方案과 政策 基調
2. 南北韓 保健醫療 交流協力의 原則
3. 南北韓 保健醫療 交流協力의 方向
4. 南北韓 保健醫療 交流協力을 위한 戰略
Ⅵ. 南北韓 保健醫療 交流協力의 活性化 方案
1. 南北韓 [保健醫療協定]의 締結
2. 地域社會 中心의 交流協力 事業
3. 第3國을 통한 學術交流
4. 人道的 支援의 持續的인 推進과 效率性 提高
5. 民間-政府 保健醫療 協議體 構成
參考文獻
附錄 1. 南北韓 保健醫療 專門家 포럼
附錄 2. 調査票
附錄 3. 南北關係 關聯 現行法令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남북한 보건의료분야 교류협력 활성화 방안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02-01 |
dc.subject.kihasa | 국제사회보장 |
dc.subject.kihasa | 보건의료 서비스 |
dc.subject.kihasa | 보건의료 안전망 |
dc.subject.kihasa | 보건의료 자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