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 이전 빈곤정책의 역사 = A History of Anti-poverty Policy before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조성은
dc.date.accessioned2019-09-27T07:20:31Z
dc.date.available2019-09-27T07:20:31Z
dc.date.issued2019-09-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3222
dc.identifier.urihttp://dx.doi.org/10.23062/2019.09.2
dc.description.abstract빈곤은 가장 오래된 사회 문제인 동시에 완벽하게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기도 하다.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4궁(四窮)에 대한 구휼사업과 병자에 대한 구료사업을 펼쳐 온 역사적 기록도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가 관심을 갖는 것은 근대사회에 들어 사회구조적으로 발생한 빈곤이다. 조선 후기부터 일제식민지 시기까지 근대적 빈곤 문제는 국가와 사회에 의해 방치되어 왔다. 한국전쟁 이후 발전주의 시기에도 경제 성장에 밀려 적극적인 빈곤정책은 부재하였다. 1990년대 중반 시민사회운동 조직을 중심으로 국민복지기본선 확보 운동이 등장하고 생활보호제도의 열악함을 헌법소원을 통해 해결하려는 시도가 나타나면서 조금씩 변화의 가능성이 보였다. 빈곤에 대한 관점의 전환과 국가 책임에 대한 인식은 복지국가로 전환되는 중요한 변곡점이기 때문에 1990년 후반의 변화와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에 주목해야 한다.
dc.formattext/plain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extent14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 이전 빈곤정책의 역사
dc.title.alternativeA History of Anti-poverty Policy before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identifier.doi10.23062/2019.09.2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19
dc.citation.volume275
dc.citation.number9
dc.citation.date2019-09-01
dc.citation.startPage7
dc.citation.endPage2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19년 9월 통권 제275호, pp.7-2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9.9 No.275, pp.7-20
dc.date.dateaccepted2019-09-27T07:20:31Z
dc.date.datesubmitted2019-09-27T07:20:31Z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