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청소년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청소년복지의 관계 = The Identity of Youth Studies and Youth Welfare

제목
청소년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청소년복지의 관계 = The Identity of Youth Studies and Youth Welfare
저자

조흥식

키워드
청소년학 ; 청소년복지
발행연도
1999-12-31
발행기관
한국청소년학회
인용정보
청소년학연구, vol. 6, no. 2, pp. 1 - 19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학의 한 분야인 청소년복지의 내용이 청소년학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며, 청소년복지가 청소년학의 정체성에 어떻게 기여를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첫째, 사회복지학과 청소년복지와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둘째, 청소년복지와 청소년학의 관련성을 구명하였고, 셋째, 이를 바탕으로 하여 청소년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청소년복지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제시한 청소년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청소년복지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학이 연구대상, 연구방법, 이론체계로 구성되는 학문체계 내에서의 내적 일치성을 분명히 갖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청소년복지 자체가 가진 기본적 가치, 지식, 기술을 새로운 관점에서의 유기적인 정립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둘째, 청소년학이 고유의 전공분야를 소유하도록 하기 위하여 청소년복지의 전공분야인 미시복지와 거시복지의 좀더 정교한 틀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셋째, 응용학문으로서의 청소년학이 실천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이론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청소년복지의 학문연구는 현장에서의 실천이론 중심 연구나 정책연구보다 상대적으로 기초학문의 연구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넷째, 실천성이 강조되는 응용학문으로서의 청소년학 정체성 확립과 관련하여 청소년복지 전문직에 걸맞는 전문 인력을 길러야 한다. 특히 청소년학 관련 전문직이 장기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양한 타전문직과 함께 만들어지는 것이라는 현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다섯째, 청소년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필요한 청소년복지의 연구방법을 다양화한다. 여섯째, 우리 사회에 적합한 청소년학의 토착화를 이루기 위하여 청소년복지는 선·후진 각국의 청소년복지가 갖는 특수성을 충분히 이해한 후 우리 실정에 맞는 모형개발에 대한 연구를 많이 하도록 한다. 일곱째, 종합학문적인 청소년학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청소년 연구대상의 재평가 및 시설, 가족, 학교, 사회환경 등의 장에서 청소년복지를 위한 당면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회복지행정의 하나인 청소년복지행정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여덟째, 청소년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교육이 대단히 중요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교육체제의 확립이 필요한데, 어느 정도 갖추어진 청소년복지의 교육체제를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형성해 가야 한다.
Fulltext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1732018
ISSN
1229-6988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