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발달장애인을 위한 공공후견인의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ublic Guardians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임소연
dc.contributor.author이진숙
dc.date.accessioned2019-01-07T07:26:25Z
dc.date.available2019-01-07T07:26:25Z
dc.date.created2018-12-31
dc.date.issued2018-12-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0968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제도로 성장하기 위해 공공후견의 본 모습을 탐색하고자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공공후견은 공공후견인의 실천으로 구성되므로 실제 후견 경험을 연구하기 위해 Creswell의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후견사례 9건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공공후견인들의 경험은 ‘기대와 온정으로 뛰어들기’, ‘예상치 못한 실패와 갈등의 경험’, ‘지속을 위한 거리두기’ 로 구성되는 동적인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공공후견은 대부분 사회복지실천가가 기대감이나 이타심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개입활동으로 시작하였다. 그러나 갈등과 어려움 등 부정적 경험을 통해 변화의 지점을 맞이하게 되고, 그 결과 본인이 감당할 수 있는 일정한 정도를 찾고 그 간격을 유지하면서 후견활동의 지속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견인의 적극적 개입은 피후견인의 자기결정과 후견활동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후견법인 및 발달장애인센터는 선임 후 후견인, 피후견인과 함께 임무의 범위와 해석 등 후견활동에 대한 실질적 논의를 해야 한다. 또한 자주 접하게 되는 주거래 금융기관 등 외부와 연계를 통해 후견인의 어려움을 완화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후견활동을 오픈시킬 수 있는 간담회, 자조모임 등을 활성화하여 후견활동의 공개와 공유를 통해 모니터링과 배움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ublic guardianship to grow into a decision making support system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Public guardianship consists of practitioners’ practices, so researching actual guardian's experience is an indispensable prior work. In order to study, we examined nine cases in the K local government by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Based on the data of within-case analysis and across-case analysis showed three major themes of the experiences of public guardians. These were ‘jumping with expectation and warmth’, ‘experience of unexpected failure and conflict’, and ‘keep a distance for continuity’. In the early stage, emotional aspect of human relationship led to more active intervention. These overactive interventions can lead to the point of change through the negative experience of conflict and difficulty. As a result, there was a risk of keeping distance that a certain level can afford. Since early active intervention may affect the self-determination, the guardian and support center should conduct a practical discussion including the scope and interpretation of the dut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the difficulties by linking with the community like a bank. Finall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meetings with support organizations and self-help groups. This will be an open opportunity for monitoring and learning to take place naturally.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n error occurred on the license name.
dc.rights.uriAn error occurred getting the license - uri.
dc.title발달장애인을 위한 공공후견인의 경험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ublic Guardians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발달장애
dc.subject.keyword자기결정
dc.subject.keyword공공후견
dc.subject.keyword사례연구
dc.subject.keyword공공후견인의 경험
dc.subject.keywordDevelopmental Disabled
dc.subject.keywordSelf-Determination
dc.subject.keywordPublic Guardianship
dc.subject.keywordCase Study
dc.subject.keywordExperience of Public Guardian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8
dc.citation.number4
dc.citation.date2018-12-31
dc.citation.startPage571
dc.citation.endPage60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4호, pp.571-60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8 No.4, pp.571-602
dc.date.dateaccepted2019-01-07T07:26:25Z
dc.date.datesubmitted2019-01-07T07:26:25Z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