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정해식 |
dc.contributor.author | 강신욱 |
dc.contributor.author | 김동진 |
dc.contributor.author | 김성아 |
dc.contributor.author | 강미나 |
dc.contributor.author | 김지혜 |
dc.contributor.author | 정영호 |
dc.contributor.author | 안주엽 |
dc.contributor.author | 오선정 |
dc.contributor.author | 채창균 |
dc.contributor.author | 윤혜준 |
dc.contributor.author | 김지선 |
dc.contributor.author | 김종호 |
dc.date.accessioned | 2018-12-13T16:30:22Z |
dc.date.available | 2018-12-13T16:30:22Z |
dc.date.issued | 2018 |
dc.identifier.isbn | 979-11-5567-262-4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0828 |
dc.description.abstract | 우리 국민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에 맞춰 정부도 삶의 질 개선을 정책 목표로 하고, 여러 성과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차원에서 국민 삶의 질 보장의 수준을 진단하고자 OECD의 ‘더 나은 삶의 질 지수(BLI)’를 그 구성지표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관련 정책의 추진 현황을 진단하였다. 주거, 소득, 노동, 공동체, 교육, 환경, 시민참여, 건강, 삶의 만족, 안전, 일과 삶의 조화라는 11개 정책 영역에서 우리나라는 발전한 영역과 그렇지 못한 영역이 확연히 구분되는, 방사형 그림을 그리면 ‘불가사리’형 발전을 보여주었다. 객관적 지표로는 평균 수준의 삶의 질 발전을 보였지만, 주관적 지표로는 비교대상 국가 중 가장 낮은 삶의 질 발전 수준을 보였다. OECD 국가에서 평균적인 삶의 질 수준을 보이는 국가들은 여러 영역이 고루 발달한 특징을 보였다. 정부의 여러 정책 과제는 국민 삶의 질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삶의 질 보장에서 특히 취약한 영역에 더 집중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삶의 질 개선을 목표로 정책 관리 거버넌스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결과가 삶의 질 지표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정책 대응의 필요를 강조하는 기초 도구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3 제2절 연구 목적 5 제3절 연구 구성 6 Ⅱ. 삶의 질 지표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7 제1절 국내·외 삶의 질 지표 현황과 비교 분석 9 제2절 OECD 삶의 질 지수의 개요와 정책적 의의 23 Ⅲ. OECD 삶의 질 지표의 변화 양상 31 제1절 주거(Housing) 33 제2절 소득(Income) 45 제3절 노동(Jobs) 55 제4절 공동체(Social Connections) 66 제5절 교육(Education) 69 제6절 환경(Environment) 77 제7절 시민참여(Civic Engagement) 82 제8절 건강(Health) 87 제9절 삶의 만족(Life Satisfaction) 94 제10절 안전(Safety) 97 제11절 일과 삶의 조화(Work-Life Balance) 107 제11절 OECD 국가의 삶의 질 현황 111 Ⅳ. 삶의 질 미래 예측과 정책과제 133 제1절 주거 135 제2절 소득 149 제3절 노동 157 제4절 공동체 173 제5절 교육 182 제6절 환경 189 제7절 시민참여 202 제8절 건강 204 제9절 삶의 만족 210 제10절 안전 218 제11절 일과 삶의 조화 228 제12절 OECD 국가의 삶의 질 미래 예측 233 Ⅴ.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방안 237 제1절 더 나은 삶의 질 지수와 한국의 삶의 질 239 제2절 더 나은 삶의 질을 위한 정책관리 방안 249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267 제1절 결론 269 제2절 정책 제언 272 참고문헌 277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303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title |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개발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삶의 질 |
dc.subject.keyword | 더 나은 삶의 질 지수(Better Life Index) |
dc.subject.keyword | 정책과제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정해식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강신욱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김동진 |
dc.type.other | 정책보고서 |
dc.identifier.url | https://nrc.re.kr/board.es?mid=a10301000000&bid=0008&act=view&list_no=0&otp_id=OTP_0000000000002677 |
dc.identifier.localId | 정책보고서 2018-24 |
dc.subject.kihasa | 사회통합 |
dc.subject.kihasa | 복지국가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