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김유경 |
dc.contributor.author | 김호순 |
dc.contributor.author | 임성은 |
dc.contributor.author | 박신아 |
dc.date.accessioned | 2018-09-29T16:30:23Z |
dc.date.available | 2018-09-29T16:30:23Z |
dc.date.issued | 201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0289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2016∼2017년에 수행한 2차 청소년연계서비스 시범사업을 평가ㆍ진단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기존 청소년연계서비스 모형을 수정ㆍ보완하여 효과적인 청소년연계서비스 모형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으로 첫째, 1차와 2차 청소년연계서비스 시범사업을 비교분석 및 평가하여 성과 및 한계점을 도출한다. 둘째, 청소년연계서비스 시범사업의 문제점 진단, 종사자 및 이용자 초점집단면접조사(FGI) 결과, 이용자 만족도 조사결과 등을 반영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셋째, 청소년연계서비스 시범사업 평가 결과, 초점집단면접조사(FGI) 결과, 이용자 만족도 조사결과 등을 토대로 기존 모형을 수정ㆍ보완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약 1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필요성 및 목적 17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18 제2장 이론적 배경 23 제1절 청소년 관련 법 및 기본계획 검토 25 제2절 청소년연계서비스 관련 운영지침 검토 32 제3절 청소년연계서비스 관련 선행연구 35 제3장 청소년연계서비스 시범사업 비교분석 및 평가 38 제1절 1차(‵14∼‵15) 청소년연계서비스 시범사업 평가결과 검토ㆍ분석 39 제2절 2차(‵16∼‵17) 청소년연계서비스 시범사업 추진실적 분석 및 운영결과 평가 70 제3절 1차 및 2차 청소년연계서비스 시범사업 비교분석 및 한계점 진단 101 제4장 종사자 및 이용자 초점집단인터뷰(FGI) 113 제1절 종사자 초점집단인터뷰(FGI) 115 제2절 이용자 초점집단인터뷰(FGI) 143 제3절 소결 157 제5장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 분석 163 제1절 응답자 특성 165 제2절 청소년수련관 프로그램 이용현황 및 욕구 167 제3절 청소년수련관의 이용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201 제4절 소결 216 제6장 청소년연계서비스 시범사업 개선방안 및 모형 수정ㆍ보완 221 제1절 청소년연계서비스 시범사업 개선방안 223 제2절 청소년연계서비스 모형 확대적용 및 수정ㆍ보완 229 참고문헌 235 부록 237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2620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사상구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title | 청소년연계서비스 시범사업 평가 및 모형 구축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청소년연계서비스 모형 |
dc.subject.keyword | 청소년연계서비스 시범사업 평가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김유경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임성은 |
dc.type.other | 정책보고서 |
dc.identifier.localId | 정책보고서 2018-02 |
dc.subject.kihasa | 사회서비스 일반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