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에 따른 정책과제 연구 = A Study on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Abolition of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s

제목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에 따른 정책과제 연구 = A Study on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Abolition of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s
저자

여유진 ; 김미곤 ; 황도경 ; 김명중 ; 정용문 ; 정재훈 ; 이주미

키워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 부양의무자기준 ; 생계급여 ; 의료급여
발행연도
2017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부양의무자 기준은 소득인정액 기준과 함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대상자 선정의 한 축을 담당해 왔으나, 기초보장제도의 사각지대를 유발하는 주요인으로도 비판 받아 왔다. 이에 ‘제1차 국민기초생활보장 종합계획(2018~2020)’ 발표를 시작으로 중장기적으로 부양의무자 기준을 폐지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 기준의 점진적 폐지에 따른 긍정적 기대 효과와 아울러 부수 효과를 탐색하고, 기대 효과를 최대화하고 부수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과제를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explore what effects, positive and negative, can be expected from a gradual abolition of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s” in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In addition, we propose alternative policy measures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 and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In the event that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s are abolished, we can actively fill the gaps in the coverage of the basic security, thereby reducing poverty and raising the quality of life of those socially underprivileged. On the other hand, however, some negative effects may arise, including a rising unfairness between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and the rest, an unfavorable public opinion of public assistance and of social welfare as a whole,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recipients through separation of households or property donations.
In the short term, it is necessary to rigorously analyze the ripple effects through the administrative database and research studies, to improve the equity through the restructuring of other systems affected by the abolition of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s, and to establish measures to strengthen multi-tier medical safety net. In the mid- to long-term,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provisions of the Civil Law about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s, and to set up a device to exercise the right to indemnity. Also, it is necessary to redesign the roadmap for the overall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and to draw up follow-up measures for the Medical Aid.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1
제2절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12
제2장 부양의무자 기준의 현황 및 문제점 17
제1절 부양의무자 기준의 현황 19
제2절 부양의무자 기준으로 인한 문제점 25
제3장 외국의 공공부조제도와 부양의무자 기준 37
제1절 공공부조제도와 부양의무자 기준에 대한 접근 방식의 분류 39
제2절 독일의 공공부조제도와 부양의무자 기준 48
제3절 일본의 공공부조제도와 부양의무자 기준 76
제4절 호주의 공공부조제도 116
제4장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폐지)에 따른 기대효과 및 부수효과 151
제1절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에 따른 신규 수급자 규모 추정 153
제2절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에 따른 기대효과 165
제3절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에 따른 부수효과 174
제5장 의료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에 따른 정책 효과 195
제1절 의료급여 제도 개요 197
제2절 의료급여 대상자 의료이용 현황 208
제3절 의료급여 비수급 빈곤층 의료 욕구 224
제4절 의료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계획 및 기대효과 237
제6장 결론: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폐지)에 따른 정책 과제 245
제1절 단기 과제 247
제2절 중장기 과제 255
참고문헌 261
부 록 269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수시) 2017-04
ISBN
9788968274398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공공부조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