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유야마 아쓰시 |
dc.date.accessioned | 2018-04-18T06:41:26Z |
dc.date.available | 2018-04-18T06:41:26Z |
dc.date.issued | 2018-03-31 |
dc.identifier.issn | 2586-0844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9479 |
dc.identifier.uri | http://dx.doi.org/10.23063/2018.03.12 |
dc.description.abstract | 일본 정부는 「장애인 고용의 촉진 등에 관한 법률(障害者の雇用の促進等に関する法律)」(이하 「장애인고용촉진법」이라 함.)을 근거로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에 장애인 고용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현재 일본에서 민간기업은 전체 상용직 근로자의 2%에 해당되는 인원을 장애인으로 고용해야 한다. 일본 정부는 이 법정비율을 2018년 4월 1일부터 2.2%로 올리고, 대상 기업을 직원 50명 이상의 기업에서 직원 45.5명 이상의 기업으로 확대한다(厚生労働省, 2018a). 상용직 근로자 수가 100명을 넘는 민간기업의 경우, 법정 비율을 달성하지 못하면 고용하지 않은 장애인 1인당 월 5만 엔(원화로 약 50만 원)의 부담금을 내야 한다(厚生労働省, 2018c).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6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title | 일본의 장애인 고용할당제와 장애인 고용 |
dc.title.alternative | The Mandatory Employment Quota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Japan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identifier.doi | 10.23063/2018.03.12 |
dc.citation.title | 국제사회보장리뷰 |
dc.citation.title |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
dc.citation.volume | 2018 |
dc.citation.volume | 4 |
dc.citation.number | 봄 |
dc.citation.date | 2018-03-31 |
dc.citation.startPage | 122 |
dc.citation.endPage | 127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국제사회보장리뷰 2018년 봄 4호, pp.122-127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2018 No.봄 4, pp.122-127 |
dc.date.dateaccepted | 2018-04-18T06:41:26Z |
dc.date.datesubmitted | 2018-04-18T06:41:26Z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