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Moderating Effects of Self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Care Helper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정오
dc.contributor.author문희
dc.contributor.author박옥임
dc.date.accessioned2018-04-13T01:05:31Z
dc.date.available2018-04-13T01:05:31Z
dc.date.created2018-03-31
dc.date.issued2018-03-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9408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자기효능감의 수준과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자는 전라남도 동부지역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67명 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감정표현 규범의 주의성과 감정의 부조화는 정서적 고갈에 유의한 정의 영향, 감정표현 규범의 주의성은 자아성취감 저하에 유의한 정의 영향, 감정의 부조화는 탈 인격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정노동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는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감정의 부조화가 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고갈에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효능감은 부의 방향으로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감정표현 규범의 주의성과 감정의 부조화는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감정의 부조화와 정서적 고갈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burnout, self efficac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care helper. The subjects were 267 care helpers working in eastern Jeollanam-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attention of emotion norm and the emotional dissona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The attention of emotion norm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decrease of self fulfillment. The emotional dissona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dehumaniz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 efficacy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was shown that emotional dissonance had an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Therefore we found self efficacy did a role to adjusted negative direction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emotional exhaustion. As a result, we found attention of emotional express norm and emotional dissonance had an effect on burnout. And self efficacy had moderating effect on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haustion.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n error occurred on the license name.
dc.rights.uriAn error occurred getting the license - uri.
dc.title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dc.title.alternativeModerating Effects of Self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Care Helper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요양보호사
dc.subject.keyword감정노동
dc.subject.keyword소진
dc.subject.keyword자기효능감
dc.subject.keywordCare Helper
dc.subject.keywordEmotional Labor
dc.subject.keywordBurnout
dc.subject.keywordSelf Efficacy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8
dc.citation.number1
dc.citation.date2018-03-31
dc.citation.startPage302
dc.citation.endPage33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1호, pp.302-33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8 No.1, pp.302-334
dc.date.dateaccepted2018-04-13T01:05:31Z
dc.date.datesubmitted2018-04-13T01:05:31Z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3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